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24.03.18

조선의 외국어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졌나요?

조선시대에 극소수지만 중국어나 일본어 뿐만아니라 영어 등 외국어를 하는 사람들이 있었잖아요. 외국어 교육이 어떤 교육자에 의해 어떻게 진행됐던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 외국어 교육은 주로 사역원'에서 담당했습니다. 사역원은 조선시대 통역 기관으로 몽골어, 여진어, 일본어, 만주어 등을 교육하여 역관을 양성하였습니다. 사역원에서는 주로 역관의 자제 등 중인 신분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외국어 교육은 사역원에서 음운론과구문론을 바탕으로 회화 중심의 교육을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국가적으로 중요한 외국어 교육을 담당하고 역관(譯官)을 양성·관리한 기관이 바로 사역원(司譯院)이다. 고려 충렬왕 2년(1276년) 설치된 통문관(通文館)이 시초이니 1894년 갑오개혁으로 사역원이 폐지되기까지 무려 6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셈인데 국립 외국어 교육기관으로서 사역원의 우수성은 5가지 정도로 요약 됩니다. 먼저 요즘도 외국어 교육에서 많이 거론되는 '조기교육'을 들 수 있는데 5세 때 이미 사역원의 왜학(倭學), 요즘 말로 하면 일본어과에 생도로 들어가 공부를 시작한 현계근(玄啓根)이라는 인물이 대표적인 예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