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여름에 장마철 비가 많이 오는 이유는 어떤이유인가요?

내일 월요일부터 장마시작이라고 하는데 장마철에 비가 많이 오는 이유는 어떤 이유인가요?

장마철 비가 많이 내리는 과학적이유가 궁금합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젊은매미372
      젊은매미372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북쪽 러시아 해안 지역에 위치한 차갑고 습한 오호츠크해 기단과 오가사와라 제도 부근의 덥고 습한 북태평양 기단 사이로 뚜렷한 정체전선이 생기면서 장마가 된다. 다만 한반도의 경우 오호츠크해 기단뿐만 아니라 차갑고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까지 일정 부분 장마에 기여하는 특징을 보인다. 장마가 형성되는 또 다른 원인으로는 베링해와 티베트 고원이 있다고 한다. 정확히 말하면 베링해의 얼음, 티베트 고원의 쌓인 눈의 양에 따라 고기압의 형성 속도에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한반도 북쪽과 남쪽에 있는 각각의 고기압이 이동하는 속도에 따라 장마철이 시작되는 날짜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런 점으로 인해 해외에서는 장마를 동아시아 계절풍 기후의 일종으로 본다.

      출처:나무위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장마전선은 북태평양의 찬기류와 남태평양의 따뜻한 기류가 만나서 이루어진 층으로 비구름이 급격히 생겨 장마구름대가 형성되는거죠. 이게 평균이상의 강우량을 내려 장마시즌이 찾아오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뜨거운 기온에 의하여 대기 중의 공기 및 지면의 수분이 증발하여 고온다습한 기후가 만들어 집니다.

      이 과정에 상대적으로 다른 계절에 비해 대기 중 수분 함량이 높아 비를 더 많이 내리게 되는 환경이 조성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장마전선은 일반적으로 여름철 아열대 저기압의 영향을 받습니다. 이 저기압은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상승하여 대류 구름을 형성시키고, 그 결과로 다량의 강수를 동반한 비가 발생합니다. 장마전선은 저기압과 고기압 사이에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한반도나 중국 동북부 지역과 저기압이 인접해 있을 때 더욱 확실하게 나타납니다.

      장마전선의 형성은 따뜻하고 습한 남쪽의 기류와 서늘하고 건조한 북쪽의 기류가 충돌함으로써 일어납니다. 이 충돌로 인해 공기가 상승하고, 수증기가 응결하여 구름이 형성되고 강수가 발생합니다. 장마전선은 이러한 공기의 상승 운동과 수증기의 함유로 인해 긴 시간 동안 비가 지속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여름에는 태양이 직접 지역을 가열하고 공기를 데웁니다. 이로 인해 지역의 공기는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대기의 수증기도 상승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열대 저기압이 형성되고, 이 저기압은 비를 유발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줍니다.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고기압이 북위에 위치하게 됩니다. 고기압은 대체로 맑은 날씨와 안정된 기상 조건을 가져옵니다. 그러나 이 고기압과 열대 저기압이 상호작용할 때, 고기압이 열대 저기압을 인도하면서 저기압이 발전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고기압과 저기압 경계 지역에서 비를 유발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장마는 차가운 북동 기류와 따뜻하고 습한 남서 기류가 만나 만들어지는 장마 전선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즉, 두 기류가 만나 다량의 비구름을 만들고 힘이 비슷하기에 밀려나가지 않고 우리나라 상공에서 오르내리며 비를 내리는 것입니다.

      장마 초기에는 보슬비가 내리고 기온이 낮아지며 장마 후반에는 국지적으로 집중호우가 내리기도 합니다.

      그리고 가끔 북쪽의 찬 공기가 확장되면서 더 많은 비를 내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장마가 길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에 장마철 비가 많이 오는 이유는 대기 중 습도와 열이 증가하여 대기 안에 수증기가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여름철에는 태양이 지평선 위에 높이 올라가면서 지표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대기 중 수증기의 양도 증가하면서, 구름이 많이 생기게 됩니다.

      특히, 여름철 아열대 지역은 지표면 온도가 높아 수증기가 많아지고, 이에 따라 대기 안의 수증기 량도 증가합니다. 이 수증기는 지표면의 열로 인해 대기 상승 기류에 의해 상승하면서 충분한 습도와 불안정한 대기 상태를 만들어내게 됩니다. 이러한 대기 상태에서는 지상에서 상승 기류가 형성되어 구름이 발생하고, 이어서 강한 비와 천둥번개가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올해는 라니냐 등의 요인으로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이 예상보다 약했고 시베리아 지역의 고온현상으로 인해 우리나라 상공으로 차가운 공기가 내려오면서 장마전선이 찬 공기에 막혀 좀처럼 북쪽으로 올라가지 못하였습니다. 따라서, 평년보다 긴 기간동안 한반도 주변에 머무는 장마전선 탓에 장마가 길게 이어질 것입니다.


      또한, 제주도 남쪽해상 부근에서 불어오는 고온다습한 기류와 우리나라 상공에 머물러 있는 차가운 공기가 서로 대립하는 곳이 바로 장마전선입니다. 북태평양 고기압에 의한 고온다습한 기류 속에 찬 공기가 파고들면서 대기가 급속도로 불안정해짐에 따라 시간당 50~100mm 정도의 매우 강한 비구름대가 지속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던 게릴라성 폭우도 이와 같은 원인 때문에 발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