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29

조선시대 임금이 후사 없이 죽게되면 세자책봉

조선시대에 임금이 후대를 이을 왕자 없이 위독하게 되면임금의 동생들이 세자로 책봉 될 수 있나요? 세자라는 말이 임금의 아들이라는 뜻이라 세자 책봉은 아닐 것 같고뭔가 다른 말이 있을 것 같은데 후대 임금을 어떻게 정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무거운도라지볶음
    무거운도라지볶음24.01.02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 임금이 후사없이 죽게 될 경우에는 세자로 책봉하지 않고 보통 형제를 세저로 책봉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단 그럴 이유가 없기 때문에 단어도 따로 없습니다

    왕이 최대한 오래 살아야 나라가 편하기 때문에

    질문같은 경우가 있어도 임금의 동생보단 차라리 방계의 어린 왕족을 입양해서 세자로 만들었구요

    세조같은 반란군이 아닌이상 책봉은 무조건 했고 "어린 왕족"이 받았습니다

    질문과 비슷한 예는 자기 동생한테 왕위를 물려준 정종이 있는데

    이건 애초에 정종이 왕이 된게 동생이 명분 챙기려고 꾸며낸 일이었고

    정종 본인도 그걸알아서 사건 터지기 전에 알아서 동생한테 "세자책봉" 해줬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임금이 세자 없이 죽으면 동생이 왕이 되기도 합니다. 이럴 때 세자의 동생을 세제라고 합니다. 이렇게 세제가 왕이 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사실 세종 대왕도 양녕 대군이 세자에서 폐세자 되면서 3번째 아들이 세자가 된 경우 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임금이 후사가 없다면, 사실상 방계혈족 중에서 왕으로 즉위하게 된다고 볼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명종이 후사 없이 죽자 덕흥대원군 이초의 아들이었던 하성군이 선조가 되었으며, 경종의 경우도 당시 세제였던 연잉군(영조)이 보위를 이은 경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만약 왕이 후대를 이을 왕자 없이 위독한 상황이라면, 임금의 동생들이 세제(世弟)로 책봉될 수 있었습니다. 세제는 왕위를 이어받을 왕의 동생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