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화는 양화를 구축한다는 그레셤의 법칙은 무엇인가요?
나쁜 돈이 좋은 돈을 몰아낸다는 뜻이 담긴 그레셤의 법칙이 잘 이해가 안갑니다. 나쁜 돈이 어떻게 좋은 돈을 몰아내게 된다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쉽게 말해서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것인데, 사람들이 같은 100원 짜리 동전으로 거래를 함에 있어서 실제로 이 100원에 들어있는 금속의 양이 모두 다르고, 소위 많이 들어있는 100원짜리(양화)보다는 적게 들어있는 100원짜리(악화)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됨으로써, 시중에 양화는 없어지고, 악화만이 유통되게 되는 것을 가리켜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라고 하며, 이것이 곧 말씀해주신 그레셤의 법칙이 됩니다.
그레셤법칙의 유려는 16세기 상인인 그레셤의 이름을 딴것으로 중세때 금융관련 업무를 하였고 순도가 높은 은화는 집에 놓고 순도가 낮은동전만 사용하기에 유통이 순도가 낮은것만 되므로 결국 순도낮은게 높은 순도를 몰아내는것으로 은행들은 차후부터 순도가 높은것은 유통이 되지 않으므로 만들지 않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그레셤 법칙(Gresham's law)은 16세기 영국 금융가 토머스 그레셤의 이름에서 나온 용어로 화폐유통에 관한 경제학 법칙입니다. 그레셤 법칙은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는 의미로 가치가 낮은 돈이 가치가 높은 돈을 몰아낸다는 뜻입니다.
16세기 영국의 헨리 8세는 화폐의 물리적 가치를 낮춤으로써 경제적 이익을 얻었습니다. 은(銀) 함량을 줄인 은화를 발행함으로써 남은 은에서 얻은 이익을 재정에 보충했습니다. 그러자 사람들이 은 함량이 높은 은화를 집에 쌓아두거나 녹여서 판매하고 함량이 낮은 은화만 통용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를 들어서 조개껍데기와 금이 있는데 동일하게 이것들이 사용된다면
사람들은 가치가 높은 금은 소장을 하고 가치가 낮은 조개껍데기만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이에 가치가 낮은 것이 가치가 높은 것을 몰아낸다는 것이 그래셤의 법칙이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