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젊은재규어181
젊은재규어181

호산구 수치가 높게 나왔는데, 어떤 검사를 해야하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25
기저질환
호산구 수치 높음 / 소화불량
복용중인 약
소화 (위염,위액 관련) 약 - 최근에만

안녕하세요 저의 지인 때문에 걱정돼서 질문드립니다.

남성 / 25세 (만23세) 입니다.


1) 소화불량 / 위액 / 속쓰림 / 설사 / 명치통증 / 밥먹으면 복통 등의 증상으로 관련 약 처방받음

2) 계속 며칠동안 아파서 위내시경, 복부초음파, 피검사 받음

3) 위내시경과 복부초음파는 정상, 하지만 피검사에서 "호산구" 수치가 높게나옴

4) 호산구 수치가 높은 이유 / 관련 질병 모두 찾아봤는데 .. 큰 병과 관련있을까 제일 걱정입니다.

5) 아직도 소화 관련해서 복통으로 아팠다 안아팠다 해서 고생중입니다 + 컨디션이 안좋아서 그런지 눈충혈이 되었습니다 (식욕부진이나 토하는 증상은 없습니다)


이번주 내로 큰 병원에가서 정밀검사 (?) 받을 예정입니다. 혹시 이런 증상이 있는 경우 단순 기생충 감염 등의 이유일까요..? 큰 문제가 있을까봐 몇주동안 불안하 미칠것같네요 .. ㅠㅠ


+ 알러지 증상은 없습니다


+ 꼭 꼼꼼히 읽어주시고 답변 부탁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호산구성 위염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할 것 같습니다.

      호산구성 위장염(eosinophilic gastroenteritis)은 위, 십이지장, 또는 대장 벽에 호산구의 국소적 혹은 미만성 침윤이 특징으로 나타나는 드문 질환 중 하나입니다. 이 질환은 주로 40대 전후의 남성에서 더 흔하게 발생하며, 원인과 발병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이해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 연구들은 이 질환의 원인으로 알레르기성 질환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호산구성 위장염의 주요 특징은 다양한 위장관 증상과 병리 소견에서 나타납니다. 이 질환의 진단은 위장관 벽에만 호산구의 침윤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다른 호산구 증가 증후군, 악성 림프종, 악성 종양, 위암, 기생충 감염, 염증성 장 질환, 결절성 다발성 동맥염 등과의 감별 진단이 필요합니다.

      호산구성 위장염 환자의 증상은 침윤한 장관 벽의 위치와 정도에 따라 다양합니다. 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복통, 오심, 구토, 설사, 체중 감소, 장 폐쇄, 복수 등이 있습니다. 혈액 검사에서는 일반적으로 말초 호산구 수가 증가하지만 약 20%의 환자에서는 정상 수준일 수 있습니다. 혈청 IgE 농도가 상승할 수도 있습니다.

      내시경 소견에서는 점막형 호산구성 위장염의 경우에는 비특이적인 이상 소견이 나타나며, 결정성 위 점막, 홍반(erythema), 미란(erosion)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이 어려운 경우 내시경적 조직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수술 검체를 이용하여 진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호산구성 위장염의 치료는 주로 스테로이드 투여로 시작하며, 대부분의 환자들은 2주 이내에 임상적인 개선을 보입니다. 이후 스테로이드를 점차적으로 감량하고 중단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일부 환자들은 수개월에 걸쳐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며,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단계적인 스테로이드 감량 또는 저용량의 스테로이드 유지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원인 음식을 피하는 식이 치료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호산구성 위장염은 드문 질환이며 특징적인 증상과 내시경 소견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이 질환을 의심하고 감별 진단을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소화기내과 전문의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