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놀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아이가 자꾸 브롤스타즈 카드를 사달라고 하네요

아이가 집에서 자꾸 브롤스타즈 카드를 사달라고 합니다. 별거 아닌거 같아서 알았다고 했는데 카드 묶음이 3-4만원인데 사줘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천지연 보육교사
    천지연 보육교사
    어울누리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원하는 장난감을 사주는 것은 나쁘지는 않지만

    그러나 장난감의 액수, 또 그 장난감이 아이에게 꼭 필요로 하는지, 아이들의 안전성 및 아이들 연령에 맞는지 등을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장난감을 사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아이가 꼭 가지고 싶다 라는 장난감을 그때마다 사주는 습관이 형성 되어진다면 아이들은 자신들이 갖고 싶은 장난감을 부모님이 사주는 것이 당연시로 여기기 때문에 이러한 점들은 조심해야 할 부분이 되겠습니다.

    아이에게 이렇게 알려주세요. 갖고 싶다고 해서 무조건 다 사고, 다 가질 수 없다 라는 것을요.

  • 안녕하세요.

    꼭 사주어야 하는 건 아니라고 생각해요. 그렇다고 사주면 안된다는 건 아닌 듯 하고··· 아이가 정말 갖고 싶은지, 평소 장난감이나 이러한 카드를 대하는 태도가 어떠한지 등을 고려하여 아이가 정말 이걸 좋아해서 많이 사용할 수 있는지를 생각하여 구입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사주기 어려운 가격대가 형성되거나 생각보다 비싸거나할때는 아이에게 상황을 설명하는것이 좋을수있으나

    아이에게 약속을 했다면 이번에는 들어주는것이 맞을수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에게 브롤스타즈 카드를 사주는 것에 대해 고민하는 부분이 이해됩니다. 아이가 자주 요청하면 부모로서 필요성과 금전적 가치를 고려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카드 묶음이 3-4만원 정도라면 상당히 큰 금액이기 때문에, 여러 측면에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브롤스타즈 카드는 게임 내 아이템을 얻기 위한 카드입니다. 게임을 좋아하는 아이들에게는 카드 구매가 흥미로운 경험이 될 수 있지만, 카드가 실제로 게임 내에서 큰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대해 아이와 이야기해 보는 것도 중요합니다.만약 카드 묶음이 실제로 게임 진행에 중요한 아이템을 제공한다면, 아이가 그 카드를 구매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게임 내에서 얻을 수 있는 아이템이 일시적이거나 자주 바뀌는 것이라면, 그 가치에 대해 다시 생각할 필요가 있습니다. 브롤스타즈 카드는 아이가 게임을 즐기는 데 있어서 큰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지만, 금액이 꽤 되므로 카드 구매가 과도한 지출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경제 교육의 일환으로 아이에게 금전적 가치와 책임감을 가르치며, 카드 구매의 필요성을 한번 더 확인해보세요. 만약 아이가 적절한 경제적 사고를 할 수 있을 때가 되었다면, 주기적인 관리와 규제를 하며 적절히 사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부디 제가 드린 답변이 조금이나마 참고가 되었기를 바라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브롤스타즈 카드는 고가이므로 바로 사주기보단 아이와 예산을 정하고 특별한 경우에만 구매하거나 용돈을 모아 스스로 구매하도록 유도하세요.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브롤스타즈 카드는 고가이므로 바로 사주기보다는 아이에게 용돈을 모으거나 목표 달성을 통해 스스로 구매하도록 지도하세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사줄만한경제력이되고 요인이된다면사주셔도되고

    그렇지않다면 안사주셔도되니

    스스로결정하시면됩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우선 아이와 약속을 했으면 사 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후로는 직접 아이가 용돈을 모아서 사거나 특별한 이벤트가 있는 날에만 사줄 수 있도록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브롤스타즈 카드는 아이의 관심을 존중하면서도 소비 습관을 가르칠 기회입니다. 카드 구매 조건부로 제한하거나 용돈으로 직접 구매하도록 유도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