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영험한치와와99
영험한치와와99

피검사 소변검사로 어떤 부분을 검사하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34

오늘 피검사와 소변검사를 했는데요...

결과는 나중에 말씀해주실것같은데요...

일반적인 피검사와 소변검사에서 어떤 부분을 알수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당뇨약을 먹고 있고 지방간이 있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당연히 피검사에는 무수히 많은 영역이 있지만,, 기본적인 검진으로 시행한다면

    기본혈구 검사, 전해질, 간, 신장기능 검사등이 일반적으로 포함됩니다.

    소변검사는 혈뇨, 세균뇨, 단백뇨등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 일반적인 피검사와 소변검사를 통해 다양한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피검사에서는 혈당 수치, 콜레스테롤 수치, 간 기능, 신장 기능, 혈구 수치, 염증 수치 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혈당 수치는 당뇨 관리 상태를 확인하는 데 중요한 지표이며, 콜레스테롤 수치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간 기능 검사는 간 효소 수치를 측정하여 지방간이나 간염 등의 간 질환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신장 기능 검사는 혈액 속의 크레아티닌과 혈중 요소 질소(BUN) 수치를 측정하여 신장의 여과 기능을 평가합니다. 혈구 수치는 빈혈, 감염, 혈액 질환 등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염증 수치는 몸에 염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변검사에서는 단백질, 포도당, 케톤체, 혈액, 백혈구, 세균 등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백질이 소변에 검출되면 신장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포도당이 검출되면 당뇨병 관리가 잘 되고 있는지 평가할 수 있습니다. 케톤체는 당뇨병 환자에서 고혈당 상태가 악화된 경우 나타날 수 있으며, 혈액이 검출되면 요로감염이나 신장결석 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백혈구와 세균의 존재는 요로감염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