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굉장한콘도르12
굉장한콘도르12

디마케팅의 개념 및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해주세요

디마케팅은

고객의 구매를 의도적으로 줄임으로써 적절한 수요를 창출한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구체적인 예에 대한 설명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디마케팅은 기업들이 자사 상품에 대한 고객의 구매를 의도적으로 줄임으로써 적절한 수요를 창출하는 마케팅 기법으로 보통은 담배회사 등이 흡연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문 등이 이에 해당 하니 참고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디 마케팅은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 구매를 일부러 줄이게 하려는 마케팅입니다. 예를 들어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 물을 절약하기 위해 정부나 기업이 물 사용을 줄이도록 광고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방법은 많은 사람들이 제품을 사용해서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자원을 낭비 없이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마케팅 전략입니다.

  • 질문해주신 디마케팅의 개념은 다음과 같은 내용입니다.

    디마케팅 (Demarketing) 이란 기업이 고객의 수요를 의도적으로 줄이고자 하는

    마케팅의 한 기법을 의미합니다.

    즉, 자신의 물건을 덜 팔리게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 신용카드발급조건을 상향하는 것은 소비를 위축시킵니다. 건전한 신용을 위해서 그런 부분을 이용할수도 있겠죠

    건강을 위해 흡연광고를 막는것도 그렇습니다

  • 디마케팅이라고 하는 것은 고객에게 의도적으로 나쁜 것을 노출하여서 고객이 선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대표적인 예시로 A은행이 고객의 대출을 진행하는 경우나 혹은 기간연장을 진행할때 더 높은 금리를 제시하거나 의도적으로 금리를 높여서 고객으로 하여금 다른 은행을 알아보도록 하는 것이 있어요

  • 대표적 디마케팅으로는 프랑스의 맥도날드 사례(2002년)를 들 수 있습니다.

    고객의 구매를 자제할 것을 당부하는 내용의 광고였는데 ‘어린이는 일주일에 한 번만 먹으러 오세요’라는 문구였습니다.

    당시 프랑스에서는 패스트푸드가 건강에 해롭다는 이유로 불매운동이 벌어지고 있던 시기였는데

    이러한 광고가 오히려 소비자들을 생각하는 체인 프랜차이즈로 인식되게 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구매량은 두 배가량 증대하였고 기업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개선한 성공적인 사례입니다.

  • 기업이 자사상품을 구입하는 고객의 구매를 의도적으로 줄여 적정수요를 형성하고 관리해 제품을 합리적으로 판매하는 기법으로, decrease와 marketing의 합성어이다. 무분별하게 고객을 늘리기보다 실제로 수익에 도움이 되는 고객에게만 집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수익을 증대하는 것이 목적이다. 초과수요의 상태에서 제품을 획득하려는 잠재고객들의 경쟁을 수수방관하기 보다는 고객만족을 보장하고 장기적인 고객관계를 유지, 개선하기 위하여 수요를 적정수준으로 감축하고 가용한 제품을 합리적으로 할당하려는 것이다.은행, 카드사,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 실제 수익에 도움이 되는 고객에게만 차별화되고 고급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익에 도움이 별로 안되는 체리피커(cherry picker, 얌체 고객)들은 의도적으로 줄이는 것은 디마케팅의 예이다. 구체적으로 은행에서 사용되는 디마케팅 방법은 입ㆍ출금 등의 단순 업무는 창구가 아닌 CD기 등의 자동화기기를 이용하도록 유도하고, 거래실적이 낮은 고객의 계좌에 수수료를 지불하도록 하는 것이다.소비자보호나 환경보호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함으로써 기업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바꾸는 효과를 기대하거나, 해당제품이 시장에서 독과점이라는 비난을 받을 위험이 있을 때에도 사용한다. 담배, 의약품 등의 포장이나 광고에 적정량 이상을 사용하면 건강을 해 칠 수 있다는 경고 문구를 삽입하거나 세제생산업체가 소비자에게 세제를 적게 쓸 것을 부탁함으로써 환경보전을 자발적으로 수행하고 있다는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심어주려는 것 등이 있다.

  • ✅️ 디마케팅의 대표적인 예는 기업이 의도적으로 자사 제품, 서비스의 공급을 줄여서 실제로 해당 기업의 제품, 서비스를 사고자 하는 고객에게만 '제값'을 받고 팔아 매출, 이익률을 신장시키고자 하는 게 대표적 예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