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아이언캐슬
아이언캐슬

담배는 우리나라에 언제 들어오게 되었으며, 윗사람과 맞담배를 하지 않는 문화는 어떻게 생겨난것인가요?

담배는 우리나라에 언제 들어오게 되었으며, 윗사람과 맞담배를 하지 않는 문화는 어떻게 생겨난것인가요? 다른나라에는 윗사람과 맞담배를 해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것 같아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에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부터 고추, 호박 등과 함께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당시 남령초, 연다, 연주, 담박괴 등으로 불리었습니다.

    조선에서는 담배에 대해 간섭을 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남녀노소 모두 자유롭게 담배를 피웠고, 광해군 때 어른 앞에서 담배를 피우지 않았다는 것은 근거가 없는 이야기 입니다.

    조선시대, 어른 앞에서 담배를 피는 것은 어느정도 제지는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담배라는 어원은 명획치 않으나 남아메리카 카리브제도에서 아라라크 족이 부르던 이름을 대항해 시대에 콩키스타도르들이 그대로 가져왔다는 설이 유력합니다. 이후 유럽 이베리아 일대 주민들도 타바코라는 명칭을 썼으며 포르투갈과 교역하던 센고쿠 시대 일본이 이를 수입하였고 다시 임진왜란 당시에 조선에 상륙하면서 담바고가 되었습니다. 이후 선비들은 남쪽의 풀이라는 뜻으로 남초 남령초로 부르고 민중들은 담파고 담초 담바고 담박과 담바구 담바 등으로 부르다 담배로 확정되었습니다. 술과 마찬가지로 담배를 어른들과 함께 피울 수 없는 것은 유교적인 장유유서의 기본적인 예의를 중시한 것에 따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