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왜 모기는 사람마다 물리는 정도가 다른 걸까요?

모기는 특정 사람을 더 많이 물고 다른 사람은 거의 물지 않죠. 부모와 아이가 있을 때 부모 보다 아이가 더 많이 물리기도 해요. 모기가 사람을 선택하는 기준과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모기는 이산화탄소(CO₂), 체온, 땀, 그리고 피부에서 발산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에 반응하여 희생자를 찾아냅니다. 인간의 몸에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개인의 대사율에 따라 다르며, 이는 모기가 사람을 감지하는 주요 신호 중 하나입니다. 또한, 체온과 습도 역시 모기의 유인에 영향을 미칩니다; 높은 체온과 높은 습도는 모기에게 매력적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피부에서 분비되는 땀의 성분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땀 속의 락틱산, 유리 아미노산, 지방산 등은 모기가 희생자를 식별하는데 기여하는 물질로, 이러한 성분의 양과 구성은 식습관, 유전, 신체 활동과 같은 요인에 따라 개인별로 다양합니다.

  • 모기는 냄새, 체온, 습도 등을 감지하여 사람을 선택합니다. 이산화탄소, 젖산, 암모니아 등의 체취와 높은 체온, 습한 피부를 가진 사람이 모기에 물릴 확률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모기는 신체에서 나오는 젖산이나 암모니아, 바터산과같은

    휘발성물질에 이끌리고 이산화탄소에 이끌립니다.

    사람마다 이런 분비물들의 양의 차이가 나기때문에

    모기가 이끌리는정도가 다를 수 있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모기가 좋아하는 화학적분자의 분비정도가 다르기때문입니다.

    주로 이산화탄소나 휘발성화학물질의 냄새를맡고

    날아오는데, 이 농도가 진한쪽으로 더 잘날아가는특징이있습니다.

    또한 털이많은사람은 털이 모기가앉지못하게 방해하기떄문에

    비교적 덜 물릴가능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모기가 사람을 물리는 정도는 여러 요인에 의해 달라집니다.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체취나 체온입니다. 모기는 이산화탄소, 체취, 열, 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체취가 더 강한 사람이나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사람이 모기에 더 끌리게 됩니다. 또한, 피부의 화학적 특성이나 혈액형, 피부의 미세한 화학물질 농도도 영향을 미칩니다. 아이들이 더 많이 물리는 이유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체온과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때문으로, 이런 특성들이 모기에게 더 매력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모기는 이산화탄소를 따라간다는 결과을 발표했습니다. 이 말은 신진대사가 활발한 사람이 더 잘 물린다는 뜻입니다. 감사합니다.

  • 모기가 사람을 선택하는 주요 기준이라면 이산화탄소나 체온, 젖산, 피부 상태 등을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통 모기는 이산화탄소를 감지하고 이를 따라 대상을 물색합니다. 그래서 신체 활동이 활발하거나 호흡량이 많은 사람, 즉 아이나 임산부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아 모기에게 더 잘 물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 모기는 따뜻한 체온에 이끌립니다. 체온이 높거나 혈액순환이 활발한 사람은 모기에게 더 잘 물리고 운동을 하거나 땀을 많이 흘리면 젖산이 생성되는데, 모기는 젖산 냄새에도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그리고 사람마다 피부에 서식하는 세균 종류와 양이 다르며, 모기는 특정 세균에 이끌릴 수 있습니다.

    아이들이 더 잘 물리는 것도 이와 비슷합니다.

    아이들은 성인보다 활동량이 많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고, 땀을 더 많이 흘려 젖산 생성량도 많습니다. 게다가 아이들은 성인에 비해 체온이 약간 높은 경우가 많을 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피부는 얇고 혈관이 표면에 가깝기 때문에 모기가 피를 빨아먹기 쉬운 것도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