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이 꺾였는데 1개월 정도됬어요 어느정도 빠졌는데 손가락이 접기가 힘들고 통증이 있어요 손가락이 골절되건가요?
손가락을 접을 수가 없어요 붓기는 많이 빠졌는데 피부색은 아직 거무스름 합니다.손을 많이 쓰는 일을 하기때문에 기부스나 보조기를 착용하기 힘들어요. 어떤 조치를 해야 하나요. 시간이 없어 병원을 아직 못갔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접기가 힘들고 통증이 있고 피부색도 거므스름한데 병원을 안간 이유를 사실 잘 모르겠군요.
지금 당장이라도 병원 내원하여서 현재 뼈의 상태가 어떤지 확인하는게 가장 올바른 것이 아닌지 생각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손가락 외상 후 운동 제한 증상은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특정한 원인이나 질병을 의심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있는 만큼 관련하여 정밀 검사를 받고 정확한 상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형외과 혹은 성형외과 진료를 보시고 필요한 검사 및 결과에 따른 치료를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인대나 근육에 가해진 손상은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괜찮아 집니다.
손가락이 꺾이고 난 다음에 충분하게 손가락을 고정시키기 않고 반복해서 사용을 했다면 인대나 근육 등이 잘 회복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불편한 부위를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휴식을 취해주 는것이 좋습니다.
자세한 확인을 위해서 정형외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세요.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가능성은 낮지만 손가락을 다칠때 큰 충격을 받았다면 미세 골절의 가능성도 배제할수 없습니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x-ray를 촬영할수 있는 병의원에서 진료를 보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골절 이외 손가락 관절의 염증, 힘줄, 인대의 손상으로 인하여 증상이 지속될수 있습니다. 계속 사용하신다면 회복이 더딜수밖에 없기에 시간을 내서 꼭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아마도 근위지절간관절(PIP joint)의 과신전으로 인해 발생한 신전구축(extension contracture)에 대한 질문으로 사료됩니다.
대개 과신전으로 손가락이 꺾이면서 일부 손가락뼈의 결출골절(avulsion fracture)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수장판(volar plate)의 손상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수장판은 측부인대(collateral ligament)와 함께 근위지절간관절의 과신전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의 손상이 일어나고 적절한 정복이나 봉합 등의 처치없이 회복된다면 이에 연결되어 있는 체크레인인대(checkrein ligament)가 끊어진 이후 측부인대 등과 비정상적인 유착을 형성하여 신전구축을 유발합니다.
수부전문병원으로 내원하시어 엑스레이 촬영을 시행하시고 필요에 따라 초음파 내지는 MRI 촬영을 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적으로 비정상적인 유착을 풀어주고 관절을 제자리로 정복한 뒤, 수장판의 봉합 등을 시행해볼 수 있겠습니다. 손을 많이 쓴다고 할지라도 이에 대한 교정없이는 호전이 이뤄지지 않을 것이기에 자칫 장애를 안고 살게 되실 수 있습니다. 진료시행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