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
근로시간면제자 임기 설정이 단체협약유효기간과 사용자동의기간이 다른경우
안녕하세요,
당사는 합병(A회사->B회사)으로 인해 현재 복수노조 체제입니다.
A회사와 B회사 모두 단체협약을 각각 갖고 있고, 유효기간은 양사 모두 2024년 12월 31일까지이며,
각 회사 별도로 근로시간면제자에 대한 노사 간 합의가 이루어져있는 상황입니다.
A회사 : 2021년 3월 1일 ~ 2024년 2월 29일 (조합원 약 280명) : 근로시간면제 한도 4,000시간
B회사 : 2022년 6월 20일 ~ 2025년 6월 19일 (조합원 약 550명) : 근로시간면제 한도 6,000시간
고용노동부의 집단적 노사관계업무매뉴얼에 의하면
(적용방식) 단체협약 또는 사용자 동의가 있는 경우 노동조합 활동에 대해 근로시간 면제한도* 내에서 유급 처리 허용
으로 되어있습니다.
만약, 내년 초에 통합 단체협약을 체결하여 내년 1월 1일부터 적용하도록 할 때 근로시간면제자 한도 범위를 재산정하여야하는 것이 문제가 됩니다.
통합단협을 체결할 경우 기존 노사 간 합의와 무관하게 반드시 해당 시점으로 근로시간면제한도가 재설정되어야 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사용자동의 시점까지는 보장해주어도 되는 것인가요 ?
- 합 830명으로 6,000시간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노노간 분쟁이 예상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통합단체협약을 체결한다는 것은 기존 단체협약을 대체하는 새로운 단체협약을 체결한다는 것이니 해당시점으로 근로시간 면제한도가 재설정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