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운좋은원앙67
운좋은원앙67

금리 인상하면 물가가 안정되나요??

뉴스에서 한국은행이 금리를 올렸다는 걸 봤는데요

금리가 오르면 물가가 내려가는 건가요?

요즘 금리도 높고 물가도 올라서

이자 부담도 커지고 생활비도 점점 힘들어지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랑 물가 관계가 딱 떨어지게 움직이지는 않습니다. 교과서적으로는 금리를 올리면 대출이 줄고 소비가 줄어서 물가가 잡힌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시간이 걸리고 또 다른 변수들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원자재 값이나 국제 유가가 올라버리면 금리를 아무리 조여도 물가는 쉽게 안내려갑니다. 반대로 경기가 식어버리면 금리 인상이 더 크게 작용해서 물가가 빨리 꺾일 때도 있습니다. 요즘처럼 금리도 높은데 물가도 여전히 오르는 상황은 그만큼 공급 쪽 요인이나 외부 충격이 크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체감상 생활비는 줄지 않고 오히려 부담이 겹치는 느낌이 강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올리면 소비, 투자가 줄어 물가가 안정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다만 시차가 있어 단기적으로 물가가 내려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물가 억제에 기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금리를 올리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물가를 잡기 위해서 입니다. 하지만 말씀하신 것처럼 금리가 오르면 이자 부담이 늘어나고 물가도 동시에 높아져서 생활이 더 어려워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금리를 올리면 물가가 내려가는 것이 정상적인 경제 원리이지만 최근 몇 년간은 고금리와 고물가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습니다.

    코로나19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공급망이 불안정해지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해 에너지와 식량 가격이 폭등했습니다. 이는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외부적인 요인에 의한 물가 상승입니다.

    금리 효과가 물가에 반영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립니다. 따라서 금리를 올렸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누적된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되어 한동안 높은 물가와 높은 금리가 공존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상에 맞춰 한국은행도 금리를 올리지 않으면 외국 자본이 빠져나가고 환율이 급등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시 수입 물가를 올려 국내 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한국은행은 미국과의 금리 차이를 고려하며 금리 정책을 펼칠 수밖에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은 물가를 잡기 위한 정책적 수단이지만 복합적인 경제 환경으로 인해 그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아 많은 국민이 이중고를 겪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를 안정화시키는 정책이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하거나 시장에서 채권이나 증권을 매수하는 양적완화를 줄이는 정책을 하는것입니다

    이원리는 통화가 팽창 즉 통화 유동성이 증가하는게 부풀린다는 인플레이션이라고 하며 이는 통화가치가 감소한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이 통화유동성은 본원통화 공급량에서 신용승수를 곱한것이며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이 신용승수가 감소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통화유동성이 감소하고 이로인해서 통화가치가 증가하고 물가는 억제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인상은 일반적으로 물가 안정을 위해 사용되는 정책 수단입니다. 금리가 올라가면 차입 비용이 증가해 소비와 투자가 줄어들고, 이는 전체적인 수요를 억제해 물가 상승 압력을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즉, 통화 긴축이 수요 과열을 식혀 인플레이션을 완화하는 원리입니다. 다만, 금리 인상이 물가 안정에 효과를 내기까지 시간 지연이 있고, 공급 측 요인에 의한 물가 상승은 금리만으로 조절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금리 인상은 수요 측면 인플레이션 통제에 주로 기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인상한다면

    시중에 돈이 줄어들게 되고

    물가를 상승시킬 요인이 다소 줄어들어

    물가가 안정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시장에 도는 돈이 줄어들고, 그렇게 되면 소비가 줄어들테니, 기업에서 쉽게 물가를 올리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재고를 소진해야 기업이 돌아가기 떄문입니다. 만약 시자에 돈이 많다면 이는 누구나 물건을 쉽게 사려고 하기 떄문에 물가를 올려도 구매를 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은 시자에 돈이 많냐 돈이 적냐에 따라 조금 영향을 받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금리가 인상되면 물가가 안정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금리와 물가는 직접적인 관계 속에 있습니다.

    금리가 오르게 되면 시중에 돈이 빠르게 사라지게 되며

    그래서 돈의 가치가 올라서 물가가 내려가게 되는 것입니다.

    다만,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오르진 않고 계속 동결 중에 있습니다.

  •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시중에 도는 통화량이 줄어들게 되기 때문에 물가는 안정화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통화량이 줄어드는만큼 경기는 침체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에서 최근 통화정책 발표로 금리를 동결했는데요.(인상 아님) 보통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이유는 물가 안정화를 위해서 진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