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은 몇삷부터 다니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맞벌이 때문에 아이 어린이집 다녀야 할거 같은데 돌 이전에 보내는게 맞을까요? 보통 언제부터 어린이집을 보내나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어린이집에 보내는 적당한 시기가 궁금한가봅니다. - 주양육자와 애착형성을 하는 시기는 아이마다 개인차가 있겠으나 보통 생후6개월~생후24개월까지입니다. - 이 시기의 애착형성은 아이의 사회성 발달 및 향후 성장발달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이 시기에는 아이에게 애정 표현을 많이하고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그리고 낯가림은 생후 6개월경에 시작해서 11~12개월 정도에 끝이 납니다. - 애착형성은 낯가림과 분리불안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 이런 점을 감안해서 결정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육아휴직을 1년동안 부여하는 이유도 이런 연유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 생후 18개월 즈음해서 짧게라도 기관에 보내 또래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 마치 수학이나 과학의 공식과 같이 약속된것처럼 어린이집을 가야하는 특정한 시기가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부모님과 아이의 애착형성이 되는 시기가 우리나이로 3살정도까지라고 합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3살이후에 어린이집에 보내는게 좋다고 하는데요. 이 또한 각 가정과 아이의 정서상태,발달상태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만0세부터 어린이집에 갔어도 멋지고 예쁘게 잘 성장한 아이들도 많이 있으니까요. 소신대로 하시는게 맞다고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엄마와 아기와의 애착 형성을 위해선 최소 36개월 까지는 엄마와 함께 있는 것이 아이의 정서에 좋은 영향을 끼칠 것입니다. - 아이가 어느 정도 의사표현도 되고, 배변훈련도 끝나고, 면역력도 어느 정도 생겼을 때 보내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 어린 영아들이 집단 생활하는 어린이집에 가게 되면, 아무래도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이 많기 때문에 감기도 쉽게 옮아오고, 원에 등원하는 날 보다, 병원에 가는 날이 더 많아질 수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 가정보육이 가능한 환경이라면 24개월 이후 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조금 더 일찍 가야겠지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부모님의 여건에 따라 하시는게 정답이라 생각합니다. 어린이집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보면 불안할때도 있고, 내아이는 잘할까 하는 생각도 있지만 육아에만 전념하기 어려운 부모님들도 많으니까요. - 저희집의 경우는 부부가 돌아가며 휴직을 해서 4살부터 보내긴했었습니다. 말도 늦어서 어린이집을 가고 몇달뒤부터 말을 했어요. 이것때문에 걱정을 많이 했던기억이나네요. 의사표현을 제대로 할까 하는.. - 돌이전이라하면 막상 보내려하면 생각보다 너무 작고 스스로 할 수 있는것도 없어 걱정이 많이 될거 같긴하네요. 지역내 좋은 어린이집을 잘비교해보시고 아이가 잘적응하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 돌 이전에도 어린이집에 보낼 수는 있지만 - 상황이 허락하는 한 가급적 부모님의 손길이 오래 닿는 것이 좋습니다. - 보통 또래놀이가 가능한 3세 이후가 적당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맞벌이를 하시는 부모님들 중에서 아이들 보통 생후3개월 부터 보내시는 부모님들이 계십니다. - 그러나 저의 개인적인 생각은 아이가 애착형성이 잘 되지 않았다 라면 애착형성을 조금 더 하신 후에 어린이집에 보내시는 것이 좋지 않을까 라는 저의 생각을 조심스레 내어 봅니다. - 맞벌이를 하신다면 개월 수에 상관없이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셔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