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 혼나면 심각하게 생각하는 것과 크게 혼나도 신경도 안쓰는 것
아이들 성향이 보니 한번 혼나면 혼자 토라지는데 다른 아이들은 지속 혼나도 듣는둥 마는 둥 하던대로 지속 행동하는 아이도 있네요. 각 아이들 성향별로 훈육 방법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 기질에 따라 훈육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응이 느리거나 내성적인 아이는 큰 소리를 내어 이야기하는 것은 오히려 위축이 될 수 있습니다. 훈육은 단호하면서도 아이를 존중하는 마음이 깔려있는 동시에 친절함도 있어야합니다.
산만한 아이일 경우는 아이의 눈을 맞추며 정확하게 이야기해주시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내성적인 성격에 아이 일수록 부모님 훈육에 대해 마음의 상처를 받는 정도가 클 수 있습니다
활동적인 아이도 혼이 나게 되면 주눅이 드는 것은 같습니다
그러나 활동적인 아이인 경우 금방 마음이 풀리는 것에 배해 내성적인 아이인 경우 조금 더 오래 갈수 있습니다
훈육에 효과가 있으려면 부모님의 마음이 평정심과 흥분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 훈육 하셔야 합니다
아이가 훈육에 대해 이해가 있어야 하고 동감 할 수 있어야 행동이 교정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혼나면 토라지는 아이는 아이의 감정을 확인하고 공감해주세요.
왜 혼났는지 어떤 행동이 문제였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시고, 같은 행동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잘한 행동에 대해서는 칭찬과 보상을 충분히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혼나도 금방 잊어버리는 아이는 명확하고 일관된 규칙으로 꾸준히 유지 하는 게 중요합니다.
자주 반복해서 잊어버리지 않도록 해주세요
행동에 대한 결과를 명확히 해주세요.
잘한 행동, 못한 행동 등 결과에 대한 보상은 즉각 해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한번 혼나면 심각하게 생각하는 아이는 정말 필요할 때만 적재적소에 훈육을 해주셔야 합니다. 장황하게 또는 별것 아닌 미래에 훈육하면 아이기는 죽고 자존감 자신감까지 떨어질 겁니다. 그리고 혼나는 거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아이는 한 번 훈육을 하게 되면 굉장히 단호하게 정말 객관적이고 냉정하게 훈육을 해주시는 게 효과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한번 혼나면 심각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주로 비판에 민감하고 자책하는 경향이 있어 문제해결에 신경을 많이 씁니다. 이런 아이들은 감정에 공감해주세고 잘 다독여주셔야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의 성향에 따라 훈육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아이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도록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그 기준을 위반할 때는 적절한 벌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아이들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각 아이들 성향별로 훈육 방법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감정을 먼저 공감해 준 후 안되는 이유를 설명해 줍니다. 또 단호한 태도로 말하며, 아이들은 이를 알아들을 수 있습니다. 논리적이며 차분한 대화를 통해 이해시켜줍니다.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해 아이들 성향에 맞는 코칭 법을 적용해볼 수 있습니다..! 논리적이며 차분한 대화를 통해 이해시켜줍니다. 이렇게 엄마가 아이 앞에서 전화로 통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영상을 보지 말라고 말해 놓고 엄마가 드라마를 보는 등의 행동은 아이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한번 혼나면 심각하게 생각하는 아이는 자칫 훈육이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니 긍정적인 피드백을 위주로 하되, 행동을 지적하는 거지 싫어하거나 미워하는 게 아님을 인지하게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반대로 크게 혼나도 신경을 쓰지 않는 아이는 자칫 감정적으로 세게 나갈 수 있는데 이를 조심하면서 반복적으로, 일관적이고 단호하게 규칙을 근거로 지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핫번 혼나면 심각하게 생각하는 아이들은 왜 혼나는지 이유를 말해주고 아이감정에 공감해주세요 크게 혼나도 신경안써도 아이감정에 공감하며 혼이나는 이유가 무엇인지 명확히알게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기질을 먼저 고려하는 것이 먼저 입니다.
잘 토라지는 아이는 소심한 성향이 강해서 입니다. 이러한 기질을 아이들은 무섭게 혼내긴 보다는 조금은 부드러운 톤으로 아이를 이해시켜 주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듣는 둥 마는 둥 하는 아이들의 경우는 자신의 잘못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듣는 둥 마는 둥 하거나 남의 이야기를 들으려고 하지 않으려는 성향이 아주 강합니다.
이럴 때는 아이의 행동을 stop시키고, 아이를 사람이 보이지 않는 곳으로 데려가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잘못된 부분을 알려주세요. 그리고 잘못된 부분에 대한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면 좋겠습니다. 이러한 아이들은 집중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집중력 및 차분함 그리고 사람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상대의 감정을 공감할 수 있도록 지도를 해주는 것도 필요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