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향가의 형식과 내용, 표기, 수록 문헌과 문학사적 의의가 궁금합니다.

향가의 형식과 내용, 표기, 수록 문헌과 문학사적 의의가 궁금합니다.

사뇌가, 도솔가, 사내가 여러 명칭이 있고요.

승려, 화랑 등 주로 당대 지배층이나 여인 등 작자층이 다양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굉장한비오리121
    굉장한비오리121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향가의 특징


    형식 : 향가의 형식에는 4구체, 8구체, 10구체 등이 있는데 10구체가 가장 정제된 형식입니다.


    - 4구체 - 서동요, 풍요, 헌화가,도솔가


    - 8구체 - 모죽지랑가, 처용가


    - 10구체 -현재 전해지는 25개 향가 중 가장 정제된 형태, 특히 낙구에 ‘아으'등의 감탄사가 사용 되었는데 후대에 발생한 시조의 종장 첫 구에 흔히 나타나며, 가사의 낙구에도 보이는 특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