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23.11.04

자연독점과 독점, 독과점 등은 서로 다른 것인가요?

경제학에서 보면 진입의 시기와

규모의 경제로 인해 자연독점이 발생한다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알고 있는 독점과 독과점은

자연독점과는 다른 형태로 나타나는 건가요?


자연독점과 독점, 독과점이

같은 개념인지

아니면 서로 다른 환경에서 일어나는

별개의 개념인지 궁금합니다


실제 우리나라에도 자연독점으로

이루어진 시장이 있는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연독점이라고 하는 것은 특정회사가 기술력의 압도적인 우위나 혹은 특허 독점과 같은 것들을 통해서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독점을 이루는 것을 말하고, 독점이라고 한다면 지금 한국전력과 같이 인프라구축이 너무 많이 들거나 혹은 정부의 허가가 있어야지만 사업을 할 수 있어서 이러한 것에 대한 통제로 인한 독점이 발생하는 시장들을 모두 함께 이야기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독점의 경우는 하나의 기업이 시장지배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독과점은 독점과 과점의 결합어로, 과점형태이나 하나의 기업이 50% 이상의 시장점유을을 가지는 경우입니다.

    자연독점이란 후발기업이 시장에 진입하더라도 기존 독점기업이 규모의 경제를 통해 확립한 경쟁력을 견뎌낼 수 없어 퇴출하는 시장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자연독점 시장은 철도, 가스 등의 시장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연독점은 상품의 특성상 여러 기업이 생산하는 비용보다 한 기업이 독점적으로 생산할 때 비용이 적게 들어 자연스럽게 생겨난 독점 시장을 말하며

    독점은 하나의 기업이 한 산업을 지배하는 시장 형태

    독과점은 한 회사가 시장 점유율을 50퍼센트 이상 차지하는 경우)인 독점과, 경쟁자가 있기는 하지만 소수인 경우(또는 셋 이하의 회사가 시장 점유율의 75퍼센트를 차지하는 경우)의 과점을 합친 용어로서, 경쟁이 결여된 시장 형태를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연독점(自然獨占, natural monopoly)은 단일 공급자를 통한 재화의 생산 및 공급이 최대 효율을 나타내는 경우 발생하는 경제 현상을 말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규모의 경제( economies of scale )라는 기술적 요인이 특정 산업에 영향을 주고, 이것이 독점화 경향으로 이어질 때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