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

하늘에 구름도 높이에 따라서 비가 오는 정도가 다르나요

오늘 아침 거실 창문을 열어보니 맞은편 야 트 마칸 야산에 비구름이 걸쳐져 있는 운치 있는 광경합니다 그런데 지난 새벽에 비가 좀 왔는데..구름이 아주 낮게 형성되엇는데 맑은 날 높이 떠 있는 구름은 왜 비를 뿌리지 않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높이가 높을수록 대기의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구름의 높이가 높을수록 수증기가 냉각되어 물방울로 응축되는 속도가 빨라집니다. 이렇게 응축된 물방울이 충분히 커지면 구름에서 비로 내리게 됩니다.

      반대로, 구름의 높이가 낮을수록 대기의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수증기가 냉각되어 물방울로 응축되는 속도가 느려지고, 비로 내리기까지의 시간이 더 오래 걸립니다.

    • 구름의 높이와 비가 오는 정도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보통 비가 오기 위해서는 공기가 충분히 상승하여 냉각되고, 이에 따라 수증기가 응축되어 구름이 형성되고, 구름 안에 있는 물방울이 충분히 커져서 지표면으로 떨어져 비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공기가 상승하는 정도와 냉각되는 정도는 구름의 높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높은 고도에 있는 구름은 낮은 온도로 인해 공기가 냉각되어 구름 안에 있는 물방울이 크게 커지기 때문에 많은 양의 비가 내리게 됩니다. 반면에 낮은 고도에 있는 구름은 공기가 덜 냉각되어 물방울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비가 적게 내리거나 전혀 내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구름의 높이 외에도 기상 조건, 대기 상태 등에 영향을 받으므로, 일반적으로 구름의 높이만으로 비가 얼마나 내릴지를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영향이 있습니다.낮은 고도의 구름은 물방울이 작아서 비가 자주 내리지 않고, 높은 고도의 구름은 물방울이 커서 비가 자주 내리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높이에 따라 비의 양이 달라질 수 있는데요. 구름이 높을수록 대기가 차갑고 건조해지므로 비가 내리기 어려워지고, 낮은 구름일수록 대기가 따뜻하고 습하므로 비가 내리기 쉬워집니다. 하지만 구름의 높이만으로는 비의 양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구름의 높이에 따라 내리는 비의 정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우선 구름의 높이를 운고라고 부릅니다. 지표면 근처의 습도가 낮으면 구름 운고는 높아집니다. 상대습도가 낮을수록 구름은 위쪽으로 올라가려고 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구름이 높으면 구름에서 빗방울이 떨어져도 지상에 도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그리고 떨어지는 빗방울은 대기에서 증발해 버리기도 합니다. 즉, 비가 되지 않는 것이죠.

      이 때문에 낮은 운고의 구름에서는 비가 많이 내리지만 높은 고도의 운고에서 내리는 비는 적을 수 있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