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년전 주가를 기준으로, 투자 경고를 정하는건 어떠한 이유에서 인가요?
일년전 주가와 그 부근의 일자중 매수세가 강하게 일어날 경우, 투자 경고에 지정되기도 하는데, 어떠한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일년전 주가의 가격과도 비교를 하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한국거래소(KRX)의 투자경고 제도는 주식시장의 건전성 유지와 투자자 보호를 위한 핵심적인 시장감시 장치입니다. 이 제도는 투자주의 → 투자경고 → 투자위험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가나 거래량이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종목에 대해 투자자들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고 과도한 투기를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우선 여기서 투자경고지정은 1년 전 주가 상승률만으로 결정되는게 아니며 여러 복합적인 이유로 최근 1개월간 주가 상승률 50%이상이거나 소수 계좌의 매수 관여도, 회전율이 지나치게 높아서 비정수준으로 증가한다거나 1년 전 동일 시점 대비 상승률이 200%가 넘거나 이런 복합적 요인으로 지정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이게 좀 헷갈리죠. 왜 굳이 1년 전 주가랑 비교를 하냐는 건데, 사실 그 기준은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만든 장치입니다. 주가가 갑자기 튀어 오르거나 거래량이 비정상적으로 몰릴 때, 그게 단순한 시장 반응인지 아니면 누군가 의도적으로 끌어올리는 건지 구분이 쉽지 않거든요. 그런데 1년 전 비슷한 시기 가격대와 비교해보면, 예전에 물린 투자자들이 한꺼번에 매수나 매도를 하면서 수급이 왜곡될 가능성이 있는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 결국 허위 수급이나 인위적인 시세조종을 걸러내려는 장치라고 보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년 전 주가와 비교하는 기준은 단순히 가격만 보는 게 아니라 특정 구간에서 매수세가 과도하게 몰리면서 인위적 수급 왜곡이 있었는지를 확인하려는 목적이 큽니다. 예전에도 작전 세력이 특정 시점 주가를 기준으로 대량 매집 후 급등락을 유도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과거 가격대와 현재 움직임을 겹쳐보면 비정상적인 패턴을 조기에 걸러낼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은 투자자 보호와 시장 질서 유지를 위한 경고 장치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상장된 주식회사는 '계속기업 가정' 하에서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즉, 1년 단위로 연간 실적 보고서를 제출하여 적정성을 외부 회계 감사 기관에서 리뷰하고 감사보고서의 적정성에 대한 의견을 주게 되어 있습니다.
즉, 주가는 적정한 감사보고서를 제출한 회사의 실적과 미래 성장성 등을 반영하여 시장에서 결정하게 됩니다. 과매수가 발생하거나 반대로 과매도가 발생하여 주가가 단기 급등락할 경우 증선위 등 감독 기관에서 모니터링을 하게 되고 현재의 주가 상황과 거래량이 적정한지 판단하게 되며 과거 주가 또한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가령, 회사의 매출과 이익 수준은 비슷한데 주가가 과하게 상승하거나 하락할 경우는 투자 유의 종목으로 지정될 수 있고 투자 유의 종목 지정 시 해당 회사가 명확한 사유를 공시하게끔 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거래소에서는 장기간 주가가 상승하고 매매가 비정상적인 종목을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하고 있는데요. 그 이유는 오랜 기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주가를 높여 시장 감시망을 피하는 신종 주가조작 사례에 대응하기 위함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일년전 주가를 기준으로 투자 경고를 정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런 경제 관련된 지표는 주로
직적년도 수치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주가 역시도 1년 전의 수치를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