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쪽 지방으로 갈수록 복지제도가 잘되어 있는 이유는 무엇이죠?
핀란드, 노르웨이,스웨덴등 북쪽 지방으로 갈수록 사회복지 제도가 잘 되어 있는데 기온과 연관이 있을가요?
사회복지 제도가 좋지만 그만큼 세금도 많이 가져가고 개인의 개성도 억압하는 측면이 있는거 같네요.
그리고 사유 재산 자체를 부정하는 공산주의도 러시아에서 일어나는데 가장 추운 곳 중에 하나네요
둘다 사유재산, 개인의 자유나 개성 보다는 어떤 집단의 존속과 이익을 더 크게 보는 거 같네요
이러한 사회체재가 북쪽의 추운 곳에서 발생하는데 기후랑 이런 사회 사상이 연관 있을가요?
그냥 우연의 일치일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스웨덴, 핀란드 등 북쪽 지방 국가들은 사회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사회주의 사상은 사회 평등과 공동체적 가치를 강조하며, 사회복지 제도 발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북유럽 지역은 겨울이 길고 매우 춥기 때문에 국민들이 건강과 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국민들의 생활 안정을 위해 적극적으로 사회복지 정책을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북유럽 국가들은 자원이 풍부하지 않기 때문에 인적 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교육과 복지 분야에 대한 투자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추위와 사상에 관한 연구가 없는 건 아닙니다.
간단히 생각해도, 먹을게 넘치도록 많아서 혼자살아도 되는 땅 보단
먹을게 아슬아슬한 땅에서 서로 나눠가며 다같이 버티자는
생각이 생기기 쉽겠죠?
하지만
지구 남반구에 있는 대륙은
남아메리카, 호주, 아프리카 입니다
전부 비교적 최근까지 식민지배 당하는 상황이었으니
사회체제 이전에 문명 발전 자체가하기 힘든 땅들이죠
그리고 공산주의는 러시아에서 만든게 아니에요
칼 마르크스는
프로이센 왕국, 현재의 독일 출신입니다
러시아는 당시 어마어마한 부패 때문에
개혁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라
아예 나라를 갈아 엎자는 사람이 많아져서
당시 선진적인 최신 사상이었던 공산주의가 활용된 것이죠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세계 지도를 펴놓고 보면 따뜻한 열대 지방보다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겨울에는 몹시 추운 지역에 사는 국민들이 더 잘 살고 있습니다. 그 이유를 살펴 보면 아무래도 기후가 사람들의 생활 방식에도 영향을 줄수 밖에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더운 나라 사람들이 추운 나라 사람들에 비해 아무래도 게으르고 덜 부지런한 것은 맞는 것 같습니다. 그러다 보니 열대 지방에 가까 울 수록 후진국이 많고 극지방에 가까울 수록 선진국이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