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운영경제 회복력은 어떻게이루어지나요?
현재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대출이자율들이 높아졌다가
너무높아진 이자율때문에 더이상 이자율을 올리지않도록 고정을 하던데 이러한경우는 경제적으로 회복되고있기에 이자율이 고정이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금리를 너무 올린다면 이에 따라서
경기가 심하게 위축될 수 있는 등 이에 따라서
이자율을 무한대로 올릴 수는 없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기에 서민경제 및 중소상인들 등 고금리대출비용으로 힘들어하는 사람들을 위해 금리를 보전하는 방법이지 경제성장때문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자율을 고정시키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의 부채가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보니 올리지 못하고 있는것이며, 이렇게 금리를 고정시키면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인플레이션 억제를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점과 부채가 추가로 증가하게되면서 부채리스크를 더욱 키울 수 있다는 점이에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시중 은행 대출과 예적금 이율의 벤치마크가 됩니다. 한국은행의 현재 기준 금리 3.5%가 상당 기간 유지되고 있는데 이는 대내외적으로 금리 인하 또는 추가 인상의 필요성이 없기 때문이지 필요성이 생기면 금리에 변화를 줄 수는 있습니다.
가령, 미국이 기준 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한국은행도 금리 인하의 여지를 얻을 수 있고 미국이 다시 금리를 인상하면 같이 인상을 심도깊게 검토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한국 경제의 어려움과 대출이자율에 대한 내용입니다.
최근 너무 높아진 이자율을 고정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회복되서라기 보다는
정부가 정책적으로 이자율에 대한 각 은행에 어느 정도의 압력을 가한 것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