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

고구려 광개토대왕 시대의 신라, 백제의 왕은 누구였나요?

중국이 동북공정으로 역사를 왜곡할만큼 위상을 떨쳤던 고구려의 광개토대왕 시기에,

넓은 영토를 수복하는 등 큰 업적이 있는데요,

그럼 고구려 광개토대왕 시기에 신라와 백제의 왕은 누구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비오리121
      굉장한비오리121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백제 왕 계보


      B.C.18 ~ A.D.660, 삼국사기 기준


      1대 온조왕


      B.C. 18-A.D. 28


      고구려의 셋째 왕자인 온조, 백제를 세우다


      2대 다루왕


      28-77


      1대 온조왕의 맏아들


      3대 기루왕


      77-128


      2대 다루왕의 맏아들


      4대 개루왕


      128-166


      3대 기루왕의 맏아들


      5대 초고왕


      166-214


      4대 개루왕의 맏아들


      6대 구수왕


      214-234


      5대 초고왕의 맏아들


      7대 사반왕


      234-234


      6대 구수왕의 맏아들. 나이가 어려 정사를 감당하지 못하여 곧 폐위됨.


      8대 고이왕


      234-286


      4대 개루왕의 둘째 아들(삼국사기 기록). 삼국 중 가장 먼저 한강 유역을 차지함. 율령 반포, 관리 등급 마련(6좌평) 등 중앙 집권 체제를 정비하여 고대 국가의 기틀을 마련함.


      9대 책계왕


      286-298


      8대 고이왕의 맏아들


      10대 분서왕


      298-304


      9대 책계왕의 맏아들. 분서왕 7년에 낙랑의 태수가 보낸 자객에게 살해됨.


      11대 비류왕


      304-344


      6대 구수왕의 둘째 아들(삼국사기 기록)


      12대 계왕


      344-346


      10대 분서왕의 맏아들. 고이왕계의 마지막 백제왕.


      13대 근초고왕


      346-375


      11대 비류왕의 둘째 아들. 백제의 전성기를 이룩한 왕. 왕위의 부자 상속을 확립함. 고구려 고국원왕을 전사 시킴. 가야/왜와는 교류하는 반면 고구려/신라는 견제함.


      14대 근구수왕


      375-384


      13대 근초고왕의 맏아들


      15대 침류왕


      384-385


      14대 근구수왕의 맏아들. 불교를 수용하여 백성의 사상을 통합하고 왕권을 강화함.


      16대 진사왕


      385-392


      14대 근구수왕의 둘째 아들. 392년 광개토대왕이 이끄는 고구려군에 패하여 많은 영토를 잃음.


      17대 아신왕


      392-405


      15대 침류왕의 맏아들. 396년, 광개토대왕이 이끄는 고구려군에 크게 패함.


      18대 전지왕


      405-420


      17대 아신왕의 맏아들. 상좌평(백제의 최고 관직)을 처음 설치함.


      19대 구이신왕


      420-427


      18대 전지왕의 맏아들. 고구려를 견제하기 위해 중국 송나라와 외교관계를 맺음.


      20대 비유왕


      427-455


      19대 구이신왕의 맏아들(제18대 전지왕의 서자라는 설도 있음). 고구려를 견제하기 위해 신라, 왜, 중국 송나라 등과 우호관계를 형성함.


      21대 개로왕


      455-475


      20대 비유왕의 맏아들. 475년 고구려 장수왕에게 한강유역 일대를 빼앗기고 목숨을 잃음.


      22대 문주왕


      475-477


      21대 개로왕의 맏아들. 웅진으로 도읍을 옮김. 병관좌평 해구에 의해 목숨을 잃음.


      23대 삼근왕


      477-479


      22대 문주왕의 맏아들. 13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 15세에 죽음.


      24대 동성왕


      479-501


      22대 문주왕의 동생인 곤지의 아들. 신라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어 고구려 남진정책에 대항함. 신진 세력 등용.


      25대 무령왕


      501-523


      24대 동성왕의 둘째 아들. 고구려에 적극적으로 맞서며 백제를 안정시키기 위해 애쓴 왕. 지방에 22담로를 설치하고 왕족을 파견하는 등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함.


      26대 성왕


      523-554


      25대 무령왕의 아들. 사비성(지금의 부여)으로 도읍을 옮기고 백제 부흥을 이끈 왕. 554년 신라 진흥왕과의 격전에서 전사함. 이로써 나제동맹관계는 결렬됨.


      27대 위덕왕


      554-598


      26대 성왕의 맏아들


      28대 혜왕


      598-599


      26대 성왕의 둘째 아들. 즉위하고 이듬해에 죽음.


      29대 법왕


      599-600


      28대 혜왕의 맏아들(삼국사기 기록). 즉위하고 이듬해에 죽음.


      30대 무왕


      600-641


      29대 법왕의 아들. [삼국유사]에 무왕과 관련된 서동설화가 전해짐.


      31대 의자왕


      641-660


      30대 무왕의 맏아들. 백제의 마지막 왕. 의자왕 초기에는 대야성전투 등 신라에 적극적 공세를 취함. 그러나 660년 나당연합군의 공격으로 백제가 멸망함.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광개토대왕 시절 백제의 왕은 진사왕과 아신 왕이었고 신라의 왕은 소수림왕으로 역사책에 기록이 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