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morgan
morgan

태아는 아빠목소리에 반응을 더 잘하는게 맞나요?

어디서 들은 이야기인데 진짜로 태아는 엄마말보다 아빠말에 반응을 더 잘해주는게 맞는건가요?

맞다면 왜 한몸인 엄마가 아닌 아빠말에 반응을 더 잘해주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태아는 양수를 통해 소리를 듣는다고 합니다.

    태아가 들을 수 있는 소리의 범위는 300~1000hz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저음인 아빠의 목소리를 더 잘 듣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부모의 태담은 아이의 뇌 기능 발달에 도움이 되지만, 특히 아빠의 태담이 더욱더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주위가 시끄럽지 않은 환경에서 엄마뿐만 아니라 아빠도 흥얼거리듯이 동요를 불러주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어째든 부모의 따뜻한 태담이 아이의 정서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ㅁ태아는 엄마의 목소리보다 아빠의 목소리에 더 반응을 잘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이는 아빠의 목소리가 더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또한, 아빠의 목소리는 엄마의 목소리보다 더 높은 음역대를 가지고 있어 태아의 청각 시스템에 더 잘 전달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태아는 엄마보다 아빠목소를에 더 잘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임신 20주를 전후로 태아에게 소리가 처음 닿게 되고 그 자극이 뇌에 전달돼 청력을 갖게 됩니다. 따라서 임신 5개월에 태아가 부모의 목소리를 들을수 있는데 연구에 다르면 태아는 양수을 통해 소리를 듣는데 들을수 있는 소리의 범위는 500~12000Hz 음역의 저주파 소리를 가장 잘 듣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빠의 목소리가 상대적으로 저음이기도 하며 이범위에 더 잘들오기 때문에 더 반응을 잘 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태아가 아빠의 목소리가 중저음이라 더 잘 반응한다는 말도 있지만, 연구마다 다르기 때문에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부모가 함께 소통하고 애정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설명드리자면 태아는 양수를 매개체로 삼아서 소리를 듣게 됩니다. 그래서 태아가 듣는것이 가능한 소리의 범위는 300~1000Hz입니다. 이로 인해서 상대적으로 저음인 아빠의 목소리를 더 잘 듣는 것입니다. 또한 태아도 소리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태아가아빠목소리에 반응을 더 잘하는건 아닙니다 다만 태교를 할때 아빠가 엄마배에대고 이야기를 들려주고 대화를 자주한 가정의 경우 아기가 아빠목소리에 반응을ㅈ더 할수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