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똑똑그대로멈춰라
똑똑그대로멈춰라23.08.19

제주도 4.3사건이 왜 발생했나요?

제주도 4.3사건에 대해서 굉장히 크게 다루는것을 보았습니다. 광주의 5.18민주화 항쟁과 더불어서 사람들이 참 많이 안타까워하고 다시는 반복되어서는 안되는 역사라 말하는 사람들도 있던데요. 이 제주 4.3사건은 어떻게 발생하게 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4.3사건이 일어나기 일년 전 1947년 3월 1일 3.1절 기념행사가 제주 관덕정에서 열렸는데 그곳을 경찰이 말을 타고 가다 여섯살짜리 아이를 치는 사고가 발생, 경찰이 다친 아이를 살피지 않고 그냥 가버리자 화가 난 군중들이 경찰을 뒤쫓으며 경찰을 보고 소리를 지르고 돌을 던지니 그 장면을 멀리서 본 다른 경찰들이 폭동이 일어난것으로 오인해 시민들에게 총을 쐈고 6명이 사망하게 됩니다.

    그리고 당시 경찰 중 상당수는 친일 경험이 있는 사람들로 미 군정은 해방 후에도 이 친일 경찰들에게 치안을 맡겼고 친일경찰은 해방 후에도 시민들을 괴롭혀 그들에 대한 감정이 좋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으로 3월 10일 온 제주도민들이 참여해 대규모 총파업이 시작됩니다.

    당시 정부입장에서는 이를 반란으로 간주해 제주도로 경찰과 군대, 우익 청년 단체를 보내고 이에 불안해진 좌익과 남로당 제주도당은 경찰과 군대가 들어오니 불안을 느끼고 무장봉기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주 4.3 사건은 1948년 4월 3일에 발생한 무장봉기 사건입니다. 이 사건은 한국전쟁 발발 직전인 1950년 6월 29일까지 약 2년 3개월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제주 4.3 사건의 원인은 매우 복잡하지만, 크게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정치적 갈등 : 제주도는 일제강점기 동안 독립운동이 활발했던 지역이었습니다. 1945년 광복 이후에도 제주도는 남한과 북한의 이념 갈등으로 인해 정치적 혼란이 지속되었습니다.

    경제적 빈곤 : 제주도는 일제강점기 동안 경제적 개발이 미미한 지역이었습니다. 광복 이후에도 제주도는 경제적 빈곤으로 인해 주민들의 불만이 높았습니다.

    사회적 갈등 : 제주도는 일제강점기 동안 외지인들의 유입이 많았습니다. 이로 인해 제주도 원주민과 외지인 사이에 갈등이 발생했습니다.

    군사적 진압 : 제주 4.3 사건이 발생하자, 정부는 무력을 동원하여 진압에 나섰습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45년 일제로부터 해방은 되었으나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5개년간 신탁통치를 결의하자 전국적으로 반탁운동이 전개되다가 이북이 찬탁으로 돌아서면서 갈등양상을 보이게 됩니다. 이후 3년간의 미군정이 실시되고 남북한총선거를 실시하고자 했으나 북쪽의 반대로 남한만의 단독선거로 결정되자 반대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제주도에서도 반대운동이 격렬하게 일어났습니다. 이를 강제로 진압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경찰 군인 서북청년단들의 과격한 진압으로 30만 도민 중에 8만5천명이 죽어간 우리 근현대사에서 커다란 비극이 발생한 것입니다. 총으로 쏴죽이고 교회에 모아놓고 불질러 죽이고 죽창으로 찔러죽이는 등 만행이 이루어졌습니다.처음에는 폭동으로 불리다가 이제는 제주 4.3사건으로 불리며 대통령까지 참석하는 국가적인 추모행사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