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오늘하루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오늘하루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21.09.20

백신접종후 마스크 착용 안해도 되나요?

아는분이 얼마전 백신2차까지 접종을 완료하였습니다 그러더니 마스크를 안쓰시더라고요 저는 그래도 마스크 쓰시라고 얘기드렸는데 백신 2차 접종하면 마스크 안써도된다고 하시더라고요 진짜 백신2차까지 끝나면 안써도 되나요? 정말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신을 맞았다고 하더라도 접종과 함께 바로 면역 반응이 생성되는 것이 아닙니다. 면역 효능은 일정 기간이 경과해야 생성되기 때문에 예방을 위해서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또한 사회 전체에 집단적으로 면역이 생성되어 더 이상 감염병의 확산 가능성이 없어 정부에서 마스크 착용을 해제할 때까지는 마스크 착용을 계속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명훈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 접종을 완료하더라도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될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를 돌파 감염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모든 경우에 있어 감염 후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며 증상이 없는 무증상 감염도 발생할수 있고 이 부분에 대해서는 연구 중입니다. 백신들은 분명 효과가 있으나, 항상 100% 질환을 예방하는 백신은 없습니다. 어느 백신이든 돌파 감염 사례는 있습니다. 하지만 백신 접종을 완료하면 미접종자들보다 감염시 입원율 또는 사망률이 훨씬 낮습니다. 또한 변이에 대해서도 효과가 있습니다. 2차 접종을 완료하더라도 코로나 감염은 계속 주의해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경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마스크는 백신2차접종을 하셔서도 본인의 건강을 위해서는 꼭 쓰셔 합니다.

    코로나변이비이러스로 인해서 코로나에 걸릴수가 있으므로 쓰셔야 합니다.

    가장 안전한 백신은 마스크라는 말이 맞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도 자연적으로 계속해서 유전자 돌연변이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돌연변이에 맞춰서 백신도 계속해서 개발되어야하는 상황입니다.

    백신을 맞더라도

    마스크와 더불어 사회적거리두기를 계속해서 지켜주셔야 하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직까지는 백신을 접종 받았다고 마스크를 벗으면 안 됩니다. 정부에서 관련된 정책을 발표한 바가 없기 때문에 백신 접종을 받았더라도 방역을 위해서는 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잘 못 알고 계시니 얼른 마스크 착용하라고 하십시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용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마스크 그대로 쓰셔야 합니다.

    초기유행주와 변이주에 대한 각 백신의 예방률입니다.

    예를들어, 화이자 백신의 경우 2차까지 맞았을 때, 초기유행주에는 93%의 예방률을

    델타형 변이에 대해서는 79%의 예방률을 나타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9.21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을 맞아도 감염되는 사례도 많지만 인구의 60% 이상 맞을 경우 집단면역이 형성되어 지역사회에서 바이러스 감염이 점차 줄어들게 됩니다. 또한 백신을 맞으면 감염이 되더라도 중증도가 떨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맞는다고 해서 반드시 감염이 안되거나 전파가 안되는 것은 아니고 치사율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닙니다. 때문에 마스크 착용 등 개인방역이 매우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닥터최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마스크 착용에 대한 권고안은 미국의 경우 해당 지역에서 이전 1주일간 50/100,000(양성환자수/검사수) 이상 발생하였거나 검사에서 8% 이상 양성률을 보이는 경우 백신 접종을 완료 하였다라도 마스크 착용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접종 유무와 상관없이 대중교통에서는 마스크를 쓰기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민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19 예방백신 접종 후 항체형성은 2~3주가 걸립니다. 1차접종으로도 어느정도 형성되나 최대의 면역력을 획득하려면 2차접종까지 완료해야합니다. 백신접종으로 100% 면역 형성이 되는 것은 아니므로 시간이 지나면서 면역의 효과가 떨어지면 코로나19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접종완료했더라도 마스크착용, 손씻기,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 등의 방역지침을 잘 지켜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병열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접종 후에도 돌파감염의 위험은 항상 존재합니다. 마스크착용,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 등의 방역지침은 잘 지켜야합니다. 별도의 새로운 방역지침이 발표되기 전까지 마스크는 잘 써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접종을 완료하여도, 델타변이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 지속되고있기때문에,

    마스크는 꼭 쓰셔야 하고, 방역수칙을 꼭 지켜주셔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 접종을 하더라도 코로나에 감염될 수 있으며 단지 예방확률이 올라갈 뿐입니다. 또한 현재와 같이 다양한 변이 바이러스가 나오고 있다면 기존에 개발된 코로나 치료제가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결국에는 집단면역을 목표로 백신을 접종하고 있으나 집단면역 실패한다면 추가 접종을 고려해야하고 결국에는 치료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그런 인센티브는 없습니다.

    사람간에 전파되며 대부분은 감염자의 기침, 재채기, 말하기, 노래 등에 발생한 침방울(비말)에 접촉할 경우 발생합니다.(주로 2m 이내)

    표면접촉, 공기접촉도 가능은 하나 공기전파의 경우 밀폐된 공간과 같은 특정환경에서 제한적으로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을 접종했다고 해도 완전히 예방되는 것이 아닙니다. 현재 항체 생성률도 평균적으로 60% 정도로 접종하고 나서도 항체가 생성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변이 바이러스에 의해서도 돌파감염이 가능하기 때문에 백신 접종 이후에도 일상생화 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조심하셔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백신 접종을 완료하더라도 코로나에 100% 감염되지 않는 것은 아니며,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감염될 확률이 낮아지기는 하지만 여전히 코로나에 감염될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때문에 백신 접종을 완료했더라도 마스크를 잘 착용하셔야 하며, 현재 백신 접종 완료자를 대상으로 시행예정이었던 실외 마스크 의무 면제 인센티브도 보류된 상태로,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접종으로 인해 항체형성이 70%이상이 된다고 해도 변이 바이러스의 가능성 때문에 마스크 착용은 지속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에도 예방접종을 하는 이유는 코로나 백신접종 후 감염될 경우 사망률을 매우 극적으로 낮추기 때문입니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최근 미국에서 백신 접종을 마친 1억6,400만 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코로나19에 따른 사망률은 0.001% 미만(1,507명)에 불과했고 백신 접종 이후 심각한 질병 등으로 입원한 비율도 0.005% 미만(7,101명)에 그쳤다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81015130000194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백신 접종 완료한 이후에도 돌파 감염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마스크를 지속적으로 써주셔야 하며, 손씻기도 생활화해주셔야 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