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귀여운팬더곰238
귀여운팬더곰23823.11.23

실업률이라는 것은 도대체 어떻게 계산하나요?

우리나라의 실업률은 현재 어떤 식으로 계산되고 있는 것인가요?

실업률의 계산에서 포함되는 사람들은 만 몇 세이상의 인구를 얘기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만15세 이상 경제활동 인구에서 1주일에 한 번이라도 구직활동을 했지만 직장이 없는사람들을

      실업률에 포함시킵니다.

    • 하지만 여기서 취업 포기자와 준비생은 포함이 안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더욱많은 실업자가 있을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업률= 실업자 /경제활동인구 *100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 로 구해집니다.

    경제활동인구는 만 15 세 이상을 기준으로 구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업률 계산 식은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100’ 입니다. 경제활동인구는 ‘취업자 수+실업자 수’이니 실업률 계산 식은 ‘{실업자 ÷ (실업자+취업자)}×100’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업률이란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하며

    15세 이상 인구 중, 비경제활동인구를 뺀 수치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민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업률은 실업자 수를 경제활동인구로 나눈 값의 백분율이며, 경제활동인구는 취업자와 실업자 수를 합산한 인구입니다


    취업자 수와 실업자 수의 합산값은 15세 이상 인구에서 비경제활동 인구를 차감한 값과 동일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업률은 경제에서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일정 연령대(15세 이상)의 인구 중 실제로 일자리를 찾고자 하는 사람들이 직업을 가지지 못하고 실업 상태에 있는 비율을 나타냅니다. 실업률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됩니다

    실업인구 수 파악: 특정 기간(월, 분기, 연도 등) 동안 실제로 일자리를 찾고자 하는 사람들 중 실업 상태에 있는 사람의 수를 파악합니다. 이는 통계청이나 관련 기관이 조사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니다.

    인구 조사: 동일한 기간 동안 해당 연령대 전체 인구를 파악합니다. 이는 인구 통계 데이터를 참조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실업률 계산: 실업인구 수를 전체 인구로 나눈 후 100으로 곱하여 백분율로 표현합니다. 실업률(%) = (실업인구 수 / 전체 인구) * 100

    예를 들어, 특정 기간에 실업인구가 1,000명이고 해당 연령대 전체 인구가 50,000명이라면 실업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1,000 / 50,000) * 100 = 2%

    실업률은 경제 상황의 변동을 파악하고 정책 결정에 활용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그러나 실업률은 조사 방법과 정의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분석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업률을 계산하고 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실업률의 계산은 [(실업자수 / 15세이상인구 - 비경제활동 인구) X 100]으로 계산을 하고 있어요. 그리고 실업률의 계산에서 사용되는 사람들의 연령은 만 15세 이상으로서, 15세 이상인 노동가능인구는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로 나누어 지게 되요. 비경제활동인구는 15세이상 인구 중에서 경제활동에 포함되지 않는 인구로서, 취업자와 실업자 모두에 속하지 않는 인구를 말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업률을 계산하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제활동인구 대비 실업자의 비율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경제활동인구에는 취업자와 실업자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 인구 대비 실업자의 비율입니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 취업자는 실제 일하고 있는 사람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