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조선에 천주교가 퍼진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숙련된개미핥기51입니다. 조선은 청나라를 제외한 다른나라와 교역을 안했던데 어떻게 서양 종교인 천주교가 조선에 들어오게 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천주교는 선교사로부터 전파된 것이 아니라 스스로 학문을 통해서 받아들여졌다고 합니다.

      이것은 천주교 역사상 전세계에서 거의 유일한 사례라고 합니다.

      즉 처음에는 신앙보단 서학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학문으로 들어왔다. 가톨릭이 이처럼 독특하게 조선에 전파된 이유는 실학과 관련이 있다. 당시 성리학에 한계를 느낀 몇몇 조선 실학자(선비)들이 서양 학문을 배워오는 과정에서 가톨릭도 전해졌기 때문. 정확히는 17세기 중국 베이징의 천주당을 방문한 사신들에 의하여 '서학(西學)'으로 소개되었고, 18세기 후반 남인 계열의 실학자들에게 처음 신앙으로 받아들여졌다.

      출처: 나무위키 '대한민국의 카톨릭'

    • 꾀꼬리
      꾀꼬리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 천주교가 소개된 것은 선조 말년 "천주실의" 란 책을 통해서 였다 18세기에 들어와서는 학자들이 개인적인 차원에서 천주교를 검토하기 시작하였는데 주로 남인 학자들이었으며 대표적인 사람으로 성호 이익을 들수가 있다 당시 조선사회 이데올로기가 되었던 주자학은 관념적인 이론으로 붕괴해가는 조선봉건사회에 아무런 기여를 못하게 되자 현실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용을 주장하였는데 그때 마침 연경을 통해 들어온 천주교가 주목이 되었다 학문적 관심의 대상이었던 서학이 점차 신앙적 처음으로 나가며 그런 현상은 성호의 제자들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1784년 정조 8년부터는 이벽뿐 아니라 남인계통의 학자, 사대부들이 중심이 되어 천주교 신앙이 전파되어 정조 중반에 이르러서는 더욱 치열해지고 심지어는는 삼남 지방에까지 퍼졌는데 특히 유림의 본고장인 경상도에까지 퍼져나갔다고 합니다 이러한 전파는 단순히 교리의 전파 차원을 넘어 신앙 실천운동의 차원으로까지 발전하였으며 가령 정조 연간에는 천주교도들이 사당을 부수고 제사를 폐지하기도 하였는데 그런 무리가 해서로부터 관동에 걸쳐 번성했을 정도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은 신분제 사회였습니다. 양반 외 백성들의 삶은 쉽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천주교는 모든 사람은 하느님 아래 평등하다는 교리였기 때문에

      백성들에게 큰 환영을 받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시 조선에는 신분제도라는 것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천주교와 동학은 근본적으로 신분제도를 부정하고 모든 사람들이 평등하게 살아야 한다는 이상을 지향했죠.

      그리고 동학의 경우 농민봉기로 이어지게 되었고,

      천주교의 경우 제사를 미신이라 하여 지내지 않았죠.(결국 조선의 풍습 중 하나로 1930년 인정. 하지만 여전히 기독교는 제사 인정하지 않음)

      이것들이 동학과 천주교 탄압의 가장 큰 이유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