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영민한줄나비102
영민한줄나비10223.01.19

금리인상의 끝은 투자자산 상승의 시작인가요?

안녕하세요.

시장은 연준의 금리인상이 막바지에 도달했다고 생각하는지 소위 안전자산으로 분류하던 것들이 하락하고 위험(투자)자산이 오르려는 조짐이 보여집니다.

도무지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모습이라 이 부분에 대한 경제적 흐름을 알고 싶습니다.

금리인상이 끝나면 더 이상 돈은 은행으로 들어가지 않고 시장으로 돌아다니는 것이 맞을까요?

또한, 이 것이 인플레이션의 종료를 의미한다고 봐도 되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선 두 가시 사항을 미리 인지하고 계시면 현 자산 시장 흐름에 대한 개괄적인 현황에 대한 파악이 가능하실 듯합니다.

    우선 주가라는 지표의 특징입니다. 주가는 일반적으로 경제 상황을 6개월 정도 앞서가는 대표적인 선행지표입니다. 하반기에 긴축을 그치고 금리가 동결 또는 인하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 자체 만으로도 현재의 주가는 상승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근래 경제 상황이 최악의 국면으로 치닫을 때 더 이상 나빠지지 않을 것이라는 경기 바닥의 컨센서스가 형성되면 주가는 오히려 상승으로 방향을 틀 수가 있습니다.

    다음은 금리와 유동성의 관계입니다. 요즘처럼 금리가 높으면 굳이 위험을 무릅쓰고 말씀하신 위험자산 즉, 주식이나 가상화폐 등에 투자를 하지 않고 안정적인 예적금이나 국공채 투자로 원하는 투자 수익률을 누릴 수 있습니다. 다는 아니겠으나 상당 부분을 위험자산 투자에서 안전자산 투자로 포트폴리오를 조정해도 요구 수익률을 만족할 수 있습니다.

    반면, 경제가 확대 국면일 경우 대부분 낮은 금리에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해집니다. 고금리 상황과 달리 돈이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부가가치를 창출합니다. 주식이나 극도로 위험한 가상화폐에 투자하며 풍부한 거래량을 바탕으로 호가가 올라가며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처럼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하면 위험 자산 가격은 상승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는 것은 물가상승률이 원하는 만큼 낮아진 경우도 있지만 현재 경기를 부정적으로 바라보기

      때문에 인하할 수도 있습니다.

    • 따라서 금리인하는 무조건 주가상승이다 라고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 금리가 코로나 시기처럼 제로금리로 간다면 다시 자산시장의 활황이 찾아올 수는 있습니다.

    • 하지만 4%대에서 3%대로 떨어진다고 호황이 다시 찾아온다는 보장을 할 수는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이 끝난다고 하더라도

    이는 경기침체 등을 우려하는 등으로 인하여

    시장의 분위기가 조성되면 투자시장이 상승하지 않을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상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는 통상 무위험자산에 대한 수익률로 위험자산 투자시의 기회비용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금리가 안정세나 하락세를 보이면 위험자산 투자시 기회비용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고 보기 때문에 주식이나 가상자산 같은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의 끝이라는 것은 사실 확정짓기 어렵습니다만

    금리인상 후 유지기조로 간다는 것은 그만큼 물가상승이 낮아졌다는 의미이고

    좀 더 지켜보겠다라는 의미라서 말씀하시는 투자자산인 주식, 부동산 등이 약간의 호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다시 엄청난 반등이 있지는 않는게

    금리인상 후 유지이면 높은 금리에서 기업,가계의 부채가 계속 쌓이게 되니 어닝쇼크발생시엔

    주식에 오히려 더 폭락이 올 수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이 끈난다고해서 무조건 투자자산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주식의 경우는 기업의 실적 상승 등이 필요하기도 하고. 단, 금리인하은 금리인상으로인해 투자자산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하락을 지속하는 흐름을 최소한 멈추게 하는 역할은 할수있을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