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나이를 따로 계산하는 이유가 뭔가요?
어제 인터넷기사에 보험나이가 우리가 알고있는 나이와 차이가 날 수 있고, 이 부분을 신경쓰면 보험금을 절약할 수 있다고 하던데..
그냥 일반 나이로 안하고 보험 나이로 하는 이유가 있나요?
복잡한데 팁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보험료는 연령별 위험률이라는 통계에 기초하여 적용됩니다. 이를 위해 보험나이를 기준으로 위험률을 산정하며, 보험나이는 만나이를 기준으로 책정됩니다.
만나이를 책정할 때 연령을 개월수 단위까지 계산 후 반올림하는 구조인데요.
현재 날짜 기준으로 생년월일을 적용합니다.
가령 2022년 12월 24일 현재기준 1990년 11월 10일의 나이는 32년 1개월 14일입니다.
6개월 미만의 경우 버림을 하면 32년이 되고
해당 보험나이는 32세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나이가 생긴 이유는 합리적인 보험료를 산정하기 위해서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계약일과 생일이 다르기 때문인데요 계약일은 1년중 언제나 가능하기에 계약일을 기준으로 보험료를 일단위 계산하면 매우 복잡해지기 때문에 만나이를 기준으로 삼으면 보험사나 계약자 중 손해보는 쪽이 발생하지요. 그래서 양측의 유불리를 절충하기 위해 보험나이를 정하게 된것입니다.
그냥 만나이 생일일 기준으로 생일에서 6개월이 안지나면 만나이, 지나면 만나이+1살 하면 되시지요.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보험 나이의 경우 계산의 편의성이 있는 듯 합니다.
계약일 기준으로 실제 만 나이를 기준으로 6개월 미만이면 버리고 6개월 이상이면 끝수를 1년으로 계산합니다.
매년 계약일을 기준으로 나이가 증가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아주 간단한게 말씀을 드리면 우리가 아는 나이는 보통 몇년에 태어났는지를 계산해서
나이를 알지만 보험나이는 만나이라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질문자님도 들으셨을거라 생각이 들지만 보험료는 아니가 어리면 어릴수록 저렴하거든요.
1살이라도 나이가 적을 때 설계를 받으시면 그만큼 저렴하게 산출이 되는거죠.
도움이 되셧길 바래요.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나이란 '만'나이를 기준으로 하며 생일 6개월을 기준으로 6개월 전이라면 만 나이 후라면 만 나이+1로 책정을 하게 됩니다.
이것을 상령일이라고도 하는데 보험료가 이 상령일 기준으로 변동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덕원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가입자의 나이계산은 생일이후6개월 지난 다음날을 보험나이로 변경됩니다. 이를 상령일이라 하는데 상령일 전에 보험가입이 유리하다는 것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