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생명화학 초보 너구리
생명화학 초보 너구리

일반화학 증기압 개념에 대해 알려주세요2

질문2

'고체와 액체 사이의 상평형'의 뜻이 정확히 뭔가요? 고체가 액체로 되는 속도와 액체가 고체로 되는 속도가 같다는 것을 말하는 건가요? 강의에선 고체와 액체가 공존한다라고 하는데

'고체와 액체의 상평형'='고체와 액체가 공존한다'='용융되는 속도와 응고되는 속도가 같다' 뜻인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고체와 액체 사이의 상평형(solid-liquid phase equilibrium)'은 고체 상태와 액체 상태가 동시에 존재하며, 두 상태 사이의 변환 속도가 서로 상쇄되어 동적 균형 상태에 이르렀음을 의미합니다. 바꿔이야기 하면, 고체가 액체로 변하는 용융(melting)의 속도와 액체가 고체로 변하는 응고(freezing)의 속도가 정확히 같아지는 상황을 설명합니다.
    이러한 상평형 상태에서는, 어느 한쪽으로의 변환이 우세하지 않기 때문에, 물질은 양쪽 상태를 동시에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를 '고체와 액체가 공존한다' 라고 표현하는 것이며, 이는 특정 조건(온도와 압력) 하에서 물질의 두 상태가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상평형은 동적인 개념으로, 외부에서 볼 때는 아무런 변화가 없어 보이지만, 미시적 수준에서는 계속적으로 상 변환이 일어나고 있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고체와 액체의 상평형'은 '고체와 액체가 공존한다'는 의미와 같으며, 이는 '용융되는 속도와 응고되는 속도가 같다'와 동일한 뜻으로 해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