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힘찬침팬지41
힘찬침팬지41

불순물 반도체에서 온도에 따른 전기전도성에 대한 질문입니다!

일단 제가 알고 있기로는

1)반도체의 전기전도성이 이동도와 캐리어 농도의 곱으로 나타낼수있다

2)Si에 P를 10^15만큼 도핑한다고 하면 이동도는 상온에서 점점 감소한다.

3)

Si에 P를 10^15만큼 도핑한다고 하면,상온에서 반도체는 온도가 증가해도 캐리어농도는 변화하지 않는다.

그러면 상온에서는 위와같은 상태에서 온도가 증가하면 감소하게 되나요?

만약에 제 생각이 틀렸다면,어디에서 틀렸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이 잘 이해하고 계신 부분도 있지만, 일부 정정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불순물 반도체에서 전기전도성은 이동도와 캐리어 농도의 곱으로 표현되며, 도핑된 농도에 따라 상온에서는 이동도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온도가 증가하면 불순물 이온화로 인해 일부 추가적인 캐리어가 생성될 수 있어 캐리어 농도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온도 상승 시 전기전도성은 감소하거나 증가할 수 있는데, 이는 특정한 온도 범위와 반도체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질문자분의 경우, 온도 변화에 따른 전기전도성의 해석에서 캐리어 농도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부분이 수정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불순물 반도체에서 전기전도성은 주로 이동도와 캐리어 농도의 곱으로 결정됩니다. 질문자님이 제시한 내용 중에 온도가 증가할 때 불순물에 의한 캐리어 농도는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이동도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고 이해하셨습니다. 이는 맞는 설명입니다. 온도가 증가하면 반도체 내에서 격자 진동이 증가하여 전자와 홀이 이동하는 데 방해가 되기 때문에 이동도가 감소합니다. 하지만 온도가 크게 증가하면 고온에서 열적 활성화를 통해 새로운 캐리어가 생성될 수 있어 반도체의 행동이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상온에서 일반적으로 도핑으로 인한 캐리어 농도 변화는 거의 없지만, 이동도가 감소함에 따라 전기 전도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이해가 대체로 정확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열적 활성화가 고려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시면 좋겠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Si에 P를 도핑하면, 상온에서 캐리어 농도는 일정하지만 온도가 증가하면 열에너지로 인해 일부 전자가 전도대에 올라가 캐리어 농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전기전도성은 온도 상승 시 이동도의 감소와 캐리어 농도 증가의 복합적인 효과로 달라집니다. 따라서 온도 증가 시 전도성이 어떻게 변할지는 두 가지 요소의 상호작용에 따라 결정됩니다.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상온에서 Si에 P를 10^15만큼 도핑하면, 도핑된 농도에 의해 생성된 전자 수는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온도가 증가하면 캐리어 농도에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온도가 상승하면 열 에너지가 증가하여 더 많은 전자가 전도대에 올라가면서 캐리어 농도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온도가 증가하면 이동도는 감소하지만 캐리어 농도는 증가하여 전도성에 미치는 총 영향은 복합적으로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