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소울리스
소울리스23.01.31

수면의 질이 너무 안 좋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나이
38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혈압약
기저질환
고혈압

최근에 자고 일어나도 너무너무 피곤하고 수면의 질이 너무 좋지 않은 것 같습니다.

- 잘 때 최소 2~3번은 깸

- 자고 일어나도 너무 피곤함

- 일어나면 뒷목이랑 어깨가 많이 뭉침

이런 증상이 며칠 째 계속되고 있는데

이럴땐 어떻게 조치하는 것이 좋으며, 병원은 어떤 과를 가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건강한 수면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상시에 항상 일정한 시간에 일정한 환경에서 규칙적으로 수면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수면 환경의 조명은 충분히 어둡게 해주고 조용한 환경에서 안정감 있게 잠들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잠을 자기 전에 따뜻한 샤워를 해주는 것이 이완에 도움이 되며, 잠을 자기 전에 운동을 하거나 전자기기의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커피나 술을 마시는 것은 숙면을 취하는 것에 방해가 됩니다. 진료를 희망하신다면 정신건강의학과로 가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수면 장애 중 가장 흔한 유형은 불면증입니다. 불면증은 무조건 수면제를 복용해서 치료하지 않습니다. 우선 수면 습관 및 수면 환경을 개선하는 등 비약물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낮잠을 피합니다. 정말 졸린 경우에는 아침에 일어난 지 5~8시간이 지난 후 10~15분 정도만 낮잠을 잡니다. 또한 잠자리에 있는 시간을 정하여, 만약 8시간이라고 하면 8시간 이상 잠자리에 누워 있지 않습니다.

    ②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합니다. 다만 자기 6시간 전에는 운동을 마쳐야 합니다.

    ③ 수면을 방해하는 물질을 피해야 합니다. 담배를 피운다면 저녁 7시 이후에는 담배를 피우지 않습니다. 카페인이 들어 있는 커피나 홍차, 콜라, 초콜릿 등은 먹지 않습니다. 술도 가급적이면 삼가야 합니다.

    ④ 수면에 적절한 환경을 만듭니다. 시계는 잠자리에서 보이지 않는 곳에 두고, 밤에 일어나더라도 시계를 보지 않습니다. 침실은 어둡고 조용하게 유지하며, 필요시 귀마개나 눈가리개를 이용합니다.

    ⑤ 잠들기 위해 지나치게 노력하기보다는 긴장을 풀고 편안한 느낌이 들도록 노력합니다. 10분 이상 잠이 오지 않으면 일어나서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하며 잠이 올 때까지 기다립니다.

    ⑥ 침대는 반드시 잠을 자는 용도로만 사용합니다. 침대에서 일하는 습관을 버려야 합니다.

    이 밖에 의사의 처방에 따라 작용 시간이 짧은 수면제를 복용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의학박사 곽성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수면장애는 치료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내 수면 클리닉이 개설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또한 일반 개원의원중에서도 수면 장애를 전문으로 진료하는 정신건강의학과 의원이 있습니다. 가까운 수면 클리닉 병원을 방문하시어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수면 장애는 전체 인구의 약 20% 이상이 경험하는 흔한 질환입니다. 특히 최근들어 스트레스 증가 및 수면주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주변 환경 변화가 심해지면서 수면장애를 호소하는 환자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우선적으로 환자의 수면 패턴을 분석하여 이에 따라 치료가 결정되며 초기 치료는 약물없이 수면 습관 및 수면 환경 개선부터 시작하게 됩니다.

    도움이 되는 답변이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