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세무
4대보험 세금을 적게 낼 수는 없나요
제가 아직 결혼을 안 하고 혼자 살아서 그런지 모르겠는데 4대 보험 세금을 너무 많이 떼는 거 같아요 짜증도 나고 스트레스도 받는데 적게 뗄 수는 없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십니까? 광교세무법인 삼성지점 이용연 세무사 입니다.
근로자가 회사에 취직하여 회사로부터 매월 급여, 각종 수당, 상여금, 성과급 등을 수령시
회사는 4대보험료 및 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 등을 원천징수하여 4대보험기관 및 세무서,
지방자치단체에 원천징수 금액을 신고/납부를 해야 합니다.
이에따라 4대보험료는 근로자 임의대로 조절할 수 없습니다. 다만, 근로소득세는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의 기준세액의 ± 20%의 범위내에서 회사 경리팀에 요청하여 조절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웅이 된 경우 "좋아요 + 추천"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호 세무사입니다.
4대 보험은 월급의 일정 비율로 떼가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월급이 올라가면 갈수록 일정하게 뗍니다. 다만 소득세 처럼 누진구조로 되어있지 않아서 급여 수준이 올라간다고 하여 더 많이 떼거나 하는 구조는 아닙니다. 만약 4대보험이 부담스러우시다면 회사 쪽에 월정급여액을 낮추는 식으로 처리를 해달라고 해볼 순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월정급여액을 낮춰서 평소에 4대보험을 적게 내더라도 매년 4월 경 건강보험 정산 과정에서 적게 낸 금액에 대해서 추가로 내야하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4대 보험으로 인해 스트레스 많이 받으시는 것 같은데, 안타깝지만 현재 구조상 어쩔 수 없어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