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굉장한콘도르12
굉장한콘도르12

김x월 시인의 산유화라는 시의 내용은 무엇인가요?

이 시의 내용은 무엇을 뜻하는지 그리고 나아가서 이에 관한 설명도 부탁드립니다, 간단하게는 자연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것처럼 보여지는데 그 내용은 인생에 대한 고찰인 듯 한데요, 자세한 설명 부탁드릴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태영 전문가입니다.

    김소월 시인의 '산유화'는 짧지만 깊은 울림을 주는 시입니다. 고요한 산 속에서 피었다 지는 이름 모를 꽃의 소박한 아름다움을 노래하며, 덧없이 흘러가는 존재의 본질과 삶의 순환을 은은하게 드러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

    김소월 시인의 산유화는 1924년 10월 『영대』 3호에 발표되고, 1925년 간행된 시집 『진달래꽃』에 수록된 시로, 4연 16행의 자유시입니다. 이 시는 겉보기에는 산에 피고 지는 꽃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새를 퉁해 자연의 풍경을 노래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속에는 인생에 대한 깊은 고찰이 담겨 있습니다.

    우선, 1연의 "산에는 꽃 피네 / 꽃이 피네 / 갈 봄 여름 없이 / 꽃이 피네"와 4연의 "산에는 꽃이 지네 / 꽃이 지네 /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피네" 에서는 자연의 끊없는 순환이자 자연의 섭리인 모든 생명체의 탄생과 소멸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연의 순환과 반복을 강조하여 인생도 마찬가지로 개인의 희노애락과 상관 없이 지속된다는 보편적 진리를 보여준다 하겠습니다.

    또한, 2연의 "산에 / 산에 / 피는 꽃은 / 저만치 혼자서 피어있네" 부분은 아주 유명한 부분으로, "저만치"의 해석에 있어 여러 평론가와 작가들이 해석이 존재합니다. 자연과 인간의 거리(인간은 자연을 모두 이해할 수 없으므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보야야 함), 존재론적 고독(모든 존재는 홀로 피어있는 꽃처럼 고독한 존재이다), 초월적 세계와의 거리(인간의 삶과는 분리된 이상적인 자연으로, 결코 도달할 수 없는 거리감의 표현) 등, 여러 훌륭한 해석이 있습니다.

    3연의 "산에서 우는 작은 새여 / 꽃이 좋아 / 산에서 / 사노라네" 부분에서는, 새를 인간으로 꽃을 자연으로 치환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루려는 인간의 염원을 보여준다 하겠습니다.

    결론적으로, 이 작품은 매우 간결하고 절제된 언어로 쓰여 있으나, 그 속에 담긴 뜻은 아주 다층적이며 심오합니다. 즉, 자연의 순환적 질서와 인간의 고독한 본질, 그리고 자연에 순응하고 조화를 이루려는 인간의 소망 등이 드러난다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김소월의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이라는 그 유명한 문구로 대표되는 진달래꽃과 함께 꽃을 주제로한 명작 서정시입니다.

    • 제목인 산유화는 말그대로 山有花。즉 산에 꽃이있다...라는 것인데.. 자연의 그 모습을 표현한 것이기도 하지만 어떤 고독한 인간의 모습 혹은 그에 대한 향수감을 나타냅니다..

    • 현대의 다른 문화장르에서 비슷한 예를 찾는다면 Koei-Techmo사의 격투게임 Dead or Alive 시리즈에 나오는 산 절벽 위에 핀 흰꽃 한송이와 주인공역인 Kasumi를 상징하는 그러한 비유적해석과도 상당히 유사하다고 하겠습니다.

    • 문장 하나하나 표현 하나하나를 읽어보면 김소월의 천재적 재능에 의해 창작된 정말 멋지게 지어진 서정시임을 알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