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꿈치 안쪽, 엉덩이 등 접히는 부분이 간지럽습니다
아토피나 알러지 같은 것 없는데 최근 며칠전부터 팔꿈치 안쪽, 엉덩이, 허벅지 뒤쪽 등이 간지러운 일이 잦습니다. 무슨 이상이 생긴걸까요? 혹시 신장 기능 저하와 연관이 있을까요? 1년전 측정한 크레티아닌 수치는 1.4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접히는 부위, 즉 팔꿈치 안쪽이나 엉덩이, 허벅지 뒤쪽이 간지럽다면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토피나 알레르기 병력이 없다고 하셨지만, 다양한 환경적 요인이나 일시적인 피부 변화로 인해 가려움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날씨가 건조해지거나 새로운 섬유나 화학 제품에 노출되었을 가능성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신장 기능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해주셨네요. 크레아티닌 수치 1.4는 약간 높은 편이긴 하지만, 단순히 이 수치만으로는 정확한 신장 기능 저하를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크레아티닌은 신장 기능의 일부를 반영하는 지표로, 수분 섭취나 근육량 등 여러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신장 문제와 관련된 다른 증상이 있거나 우려되는 점이 있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추가 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좋습니다.
피부 가려움증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다른 원인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일상 생활 습관에 변화가 있었는지, 특정 상황에서 더 심해지는지 등 자신의 생활에 대한 관찰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상황이 계속된다면 병원에서 보다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팔꿈치 안쪽, 엉덩이 등 접히는 부분의 가려움은 습진, 건조증, 알레르기 반응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1년 전 크레아티닌 수치가 1.4인 점을 고려하면 신장 기능 저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지만, 가려움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진찰을 받고 필요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신장 기능 저하가 의심된다면 신장내과 진료도 고려해 보시길 바랍니다. 꾸준한 관리와 적절한 치료를 통해 가려움에서 벗어나 편안한 일상을 되찾으시기를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