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오늘배움
오늘배움

'비제로섬 게임'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오늘도배웁니다.

'제로섬게임'이라는 용어는 자주 들었는데요.

그런데 '비제로섬게임'이라는 용어는 처음 접합니다.

'비제로섬게임'이 어떤 개념인지 궁금합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정되는 상황하에서 상호 의존적 관계를 유지하는한 사람들은 어느한쪽이 보다 큰 이득을 얻게 되더라도 다른 쪽도 역시 여전히 이득을 볼 수 있는 경우나 또는 어느한쪽이 이득을 얻게 되더라도 다른 쪽은 큰 손해를 입게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제로섬 게임'은 한쪽이 이득을 보면 반드시 다른 한쪽이 손해를 보는 게임을 말합니다.

    즉, 게임의 총합이 항상 0이 되는 것을 말합니다.

    '비제로섬 게임'은 한쪽이 이득을 보더라도 다른 한쪽이 반드시 손해를 보는 것이 아니고,

    모두 이득을 볼 수 있고, 모두 손해를 볼 수 있는 게임을 말합니다.

    게임의 총합이 0이 아닐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비제로섬 게임은

    무역의 경우가 같이 두 나라가 서로 다른 상품을 교환하면서 모두 이익을 얻는 경우,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경제 성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경우 등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비 제로섬 게임은

    한쪽의 이익과 다른 쪽의 손실을 합했을 때

    제로가 되지 않는 현상을 일컫는 용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제로섬 게임'은 한 참가자의 이익이 다른 참가자의 손실로 정확히 일치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즉, 총 자원의 양이 고정되어 있어 한 쪽의 이익이 다른 쪽의 손실로 전환되는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포커 게임에서 한 사람이 이기면 다른 사람이 잃는 구조가 이에 해당합니다.

    반면, '비제로섬 게임'은 모든 참가자가 동시에 이익을 얻거나 손실을 볼 수 있는 상황을 말합니다. 즉, 자원의 총량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협력이나 상호작용을 통해 모두가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게임입니다. 예를 들어, 두 회사가 협력하여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면, 두 회사 모두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상황이 비제로섬 게임에 해당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비제로섬에 대한 내용입니다.

    비제로섬이란 한 의사결정자의 손익이 반드시 다른

    의사결정자의 손실을 초래하지 않는 상황을 가리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제로섬은 총량이 정해진 상태에서 한정된 자원내 나눠갖는 구조이며, 비제로섬은 경쟁과정에서 총 자원량이 늘어나거나 협업으로 비용이 줄어 더 큰 혜택 보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제로섬 게임은 얻는 것이 있으면 잃는 것이 있다는 총합이 0인 게임입니다. 이에반해 비제로섬 게임은 상대와 나와 경쟁이 아닌 자신의 능력에 따라 얻을 수 있는 게임이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열심히 해서 과제를 달성하면 얻고 아니면 실패하는 게임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비제로섬게임은 한쪽의 이익과 한쪽의 손실을

    합했을 때 제로가 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곧 한쪽의 이익이 반드시 한쪽의 손실로 이어지지 않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비제로섬 게임은 여러 사람이 경쟁할 때 한쪽이 이기면 다른 쪽이 반드시 지는 것이 아니라 모두가 이익을 볼 수 있는 상황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두 나라가 서로 무역을 하면 양쪽 모두 경제적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것처럼요. 이는 제로섬 게임과 달리 이득과 손해가 서로 상쇄되지 않고 모두가 협력해서 이익을 공유할 수 있는 경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비제로섬 게임에서는 협력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모두가 함께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비제로섬 게임은 모든 참여자가 이익을 얻거나 손해를 입는 상황에서 이익과 손해의 합이 반드시 0이 되지 않는 게임 이론의 한 형태입니다. 즉, 한쪽이 이득을 보면 다른 쪽이 반드시 손해를 보는 제로섬 게임과 달리, 비제로섬 게임에서는 모두가 이득을 볼 수도 있고, 모두가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협력을 통해 서로에게 유리한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비제로섬 게임은 주로 경제, 정치, 외교 등의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무역 협정이나 국제 협력에서는 각국이 서로 협력하여 모두에게 이득이 되는 결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경쟁보다는 협력과 상호 이익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한쪽의 이익이 반드시 다른 쪽의 손해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비제로섬 게임에서는 양쪽 모두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전략이 중요해집니다.

    이 개념은 사회나 경제에서 상생의 가능성을 강조하는 이론으로, 제로섬 게임과 달리 서로 협력해 더 큰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