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핑크내복 빵구났써요 하이187
핑크내복 빵구났써요 하이187

요즘에는 TV에 정전기가 많이 발생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옛날에는 티비에 가까이가면 정전기떄문에 많이 고생했는데요. 요즘에는 TV에 가까이 가도 정전기가 많이 발생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정전기는 주로 습도와 관련이 깊습니다.

    건조한 환경에서는 정전기가 쉽게 발생하지만 , 습도가 높을 경우 수증기가 전기적 성질을 중화시켜 정전기 발생이 줄어 듭니다. 과거의 브라운관은 화면에 정전기가 자주 발생했지만, 현대의 LCD 및 OLED는 이러한 문제가 크게 줄어 들었습니다. 현대의 TV는 기술적 개선 덕분에 정전기 발생이 현저 줄어 들었지만, 정전기를 발생하지 않는것은 아닙니다.

    이는 환경적 요인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옛날 TV는 브라운관티비가 많아서 화면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내부에서 전자빔을 보내서 정전기가 많이 발생되었지만 점차 기술이 발전하면서 LED등이 변화되면서 자체 발광소자나 내누 백라이트등으로 화면이 나타내면서 정전기가 발생되지 않습니다. 또한 요즘 TV는 코팅이나 재질을 플라스틱을 사용하면서 더욱 정전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고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예전의 CRT(브라운관) TV는 고전압을 사용하여 전자빔을 발사해 화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정전기가 많이 발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티비 표면에 먼지가 달라붙거나 정전기 방전이 일어나곤 했습니다. 요즘 사용되는 LCD, LED, OLED 등의 평면 TV는 작동 원리가 다르며 고전압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정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훨씬 적습니다. 따라서 현대 TV에서는 정전기로 인해 불편함을 느낄 일이 거의 없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요즘 TV는 전자파 차단 기술과 정전기 방지 설계가 개선되어 예전보다 정전기가 덜 발생합니다. 특히 LED, OLED 등의 최신 TV는 전기적 특성이 다르게 설계되어 정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또한, TV 화면을 구성하는 소재가 변화하면서 정전기 방지 처리가 강화되었고, TV를 켠 상태에서도 정전기의 발생이 줄어들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조한 환경에서는 여전히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습도를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옛날 CRT TV는 전자총에서 나오는 전자빔을 이용해 화면을 표시했기 때문에 정전기가 많이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요즘의 LED, LCD, OLED TV는 전자빔 대신 빛을 직접 내거나 액정을 이용해 화면을 표시하므로 정전기 발생이 거의 없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차이로 현대 TV는 정전기로 인한 불편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