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나비숲
나비숲24.03.14

역류성 식도염 약을 한달째 먹고 있는데 골다공증에 영향을 주는 건 연속으로 몇달을 먹을때인지 궁금합니다.

나이
53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현재 골다공증도 있고 오랫동안 위가 좋지 않아서 위장약도 달고 사는 사람입니다.

얼마 전에도 위가 좋지 않아 14일분 먹고 또 한달 분을 더 처방 받아 먹는 중인데 역류성 식도염이 계속 심해서

약을 먹어도 음식만 먹으면 목에 이물감이 심해서 불편한 상태입니다. 위도 걱정이 되어 약을 먹지만 역류성 약을

너무 많이 먹어도 골다공증을 발생시킨다고 들었습니다. 어릴때 부터 너무 많이 복용도 했고 폐경도 되어 골다공증이 생긴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드는데 고질병처럼 끊을 수가 없어서 지금도 먹고 있습니다. 얼마정도를 먹고 끊어야 골다공증에 더 큰 영향을 주지 않을지 좀 알려주세요. 현재 한달정도 먹은 것 같습니다. 3달에 한벌 꼴로 위장약을 먹는 듯한데...지금은 잘 낫지도 않고 그러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수개월, 수년을 복용하신다면 조금 영향이 있을 수 있겠지만 미네랄 보충제를 함꼐 드시고 비타민k2나 비타민d를 보충하시면 크게 걱정 안하셔도 괜찮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민 약사입니다.

    역류성식도염 약중 위산분비억제제가 칼슘흡수를 저해시켜 골다공증에 안좋은 영향을 미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골다공증 수치에 따라 골다공증약도 먹고 역류성식도염약도 같이 먹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확한 것은 의사선생님과 상의하시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학 약사입니다.


    위장약을 2달 이상 연달아 장기 복용 하시는.경우 미네랄 흡수가 저해되기 때문에 골다공증 위험이 높아집니다. 여기에 폐경까지 겹치셔서 관리를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일단 칼슘, 마그네슘은 보충응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고, 위장증상은 식습관 개선이 필요합니다.


    약을 바로 중단하시기는 증상때문에 어려우실 것 같고 필요시에만 드시는 형태로 조절해주시고, 과식, 야식 절대 금지하시고, 음식도 정제탄수화물, 육류는 줄이시고 어패류나 식이섬유 섭취를 늘리시기 바랍니다.


    여기에 소화력도 저하되어있어 위장에 무리가 되니 고화효소제를 드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다만 위장이 약해서 속쓰림을 유발할 수 있으니 초기에 불편하실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

    PPI계열의 위산분비조절제는, 위염이나 식도염의 치료에 효과적이지만 1년 이상 장기복용 시 칼슘의 흡수율을 떨어뜨려 골다공증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해당 성분이 칼슘의 흡수를 완전히 억제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러한 부작용이 흔하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정기적인 혈액검사를 통해 미리 예방할 수 있으므로 크게 걱정할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약이 골다공증을 반드시 유발하는 것은 아닙니다. 현재 위장이 좋지 않은 경우 치료를 위해 임의로 중단하지 말고, 의사의 판단하에 복용을 지속하길 권장드립니다.

    골다공증이 걱정되는 경우 칼슘제를 추가로 복용을 권장드리며, 위장장애 부작용이 없는 액상타입의 이온화 칼슘제품을 권장드립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되셨다면 '추천' 눌러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위산분비억제제와 같은 위장약을 장기간 복용하시게되면

    위산 분비가 줄어들어 칼슘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한 연구에따르면 1년 이상 고용량 투여 환자에서 골정 위험이 증가한다고 합니다.

    현재 상태에따라 조절하시는 것이 적절하며

    꾸준히 복용하시기보다는 증상이 심한 시기에만 복용해보시길 바라며

    골밀도 검사를 통해 골다공증도 예방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