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분야에서 불타기는 어떤걸 말하나요?
투자분야에서 물타기는 평단가를 올리기 위해서 돈을 투자하는것이
물타기라고 알고 있는데요.
불타기는 어떤걸 말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불타기는 물타기의 반대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한창 오르고 있는 주식을 매수하는 것입니다.
평단가는 올라가지만 상승세를 잘 타면 수익을 빠르게 낼 수 있기도 합니다.
투자에 있어서 물타기란 떨어지는 추세에 주식이나 코인이 반등할 것을 예상하고 추가로 매수하여 평균단가를 낮추는 전략을 말합니다. 반대로 투자에 있어서 불타기란 매수한 주식이나 코인이 상승할 때 추세를 타고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을 예상하여 관련 상품을 추가로 매수하는 것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물타기와는 반대로 코인이나 주식의 가격이 급격하게 올라가는 상황에서 나방이 불에 뛰어들듯이 추가로 매수하여 수량을 늘리는 행위를 말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투자분야에서 불타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불타기란 상승 중에 있는 주식이나 코인을
상승 중에도 추가로 매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주가가 올라가는 도중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자신의 자산을 더 투입하는 것을 불타기라고 부른답니다^^
그런데 이것은 주가가 떨어졌을 때 더 큰 손실을 야기하므로 신중히 결정해야하죠.
불타기라고 하면 점점 단가를 내리는 물타기와는 반대로 상승할 걸로 보이는 종목을 가격이 올라가더라도 계속 사 모으는 것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에서 물타기란 주식, 암호화폐, 또는 다른 자산의 가격이 하락했을 때 추가로 매수해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추는 전략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처음에 주식 1주를 10,000원에 샀는데, 주가가 하락해서 8,000원이 되었다고 가정합니다.
이때 8,000원에 추가 매수를 하면, 평균 매입 단가는 9,000원으로 낮아집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투자에서 '불타기'는 주가가 상승할 때 종목에 대하여 계속해서 추가로 매수하는 전략으로 '물타기'와는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A회사의 주식을 10만원에 10주 매수했다고 가정하면.....
주가가 11만원으로 상승했을 때, 추가로 5주를 매수합니다. 주가가 계속 오르면서 12만원이 되었을 때, 다시 5주를 매수합니다. 이렇게 주가가 상승할 때마다 추가 매수를 하는 것이 불타기 전략입니다.
참고로 불타기의 장점은 상승 추세를 최대한 활용하여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고 초기 투자 금액을 분산하여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