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빈티지한양48
빈티지한양4822.12.22

지금 금리가 너무 높아 대출 받기가 힘드네요.. 언제쯤 대출금리가 떨어질까요?

예전처럼 1~2%대 금리 다시 올까요?

만약에 온다면 언제쯤 다시 그 금리대로 돌아올까요?

궁금하네요...저금리가 되야 집을 살텐데~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현재 미국을 따라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인하되고 안정이 되는 시기를 가늠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기준금리의 인하 시점과 안정을 같이 살펴보는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미국은 현재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인상을 할 계획이며, 정점금리수준은 5%~5.5%로 예상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 정점금리는 2024년도 상반기까지 유지하여 2023년도 연말에는 3%대의 CPI를 달성하고 2024년도 상반기에는 2%대의 CPI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미국 또한 이러한 고금리 시장의 형성으로 인해서 경기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잡히면 금리인하의 단계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에 미국의 금리 인하시점은 2024년도 중반이후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미국의 패턴을 따라서 우리나라 또한 내년 상반기까지는 금리인상을 하게 되고 정점금리 수준은 4%~4.25%가 될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만 미국보다 우리나라 개인들의 부채가 많고 변동금리 비율이 80%이상인 점을 감안시 미국보다 더 빠르게 소비침체로 인한 경기침체가 발생할 수 있어서 미국보다 빠른 금리인하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럼 우리나라는 빠르면 2023년 연말이나 늦으면 2024년도 상반기에 금리인하를 시작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질문자님이 말씀주신 1~2%대의 기준금리에 까지 도달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1년정도의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경기의 상황에 따라서 계속 변할 수 있겠지만 인플레이션이 다시 상승하지 않는다는 것을 가정한다면 2025년 연말쯤 되면 기준금리가 2%대로 접어들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지금은 우리나라를 비롯해서 전 세계가 모두 힘든 시기인데, 조금만 힘내시고 견디시면 위기 다음에는 큰 기회가 온다고 합니다. 화이팅 하시고 꼭 기회를 잡으시길 바라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 연준에서 계속된 금리인상 기조를 보이며

    이와 더불어서 우리나라와의 기준금리 차이, 현 물가 수준을

    보았을 때, 당분간은 지속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한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솔직히 향후 적어도 몇년간은 어렵습니다.

    1~2%로 돌아가려면 경기침체가 매우 심해지거나 금융위기 급이 와야 단기간에 갈 수 있을텐데 그런 전망은 현재로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적어도 2~3년 내에는 어렵다고 봅니다.

    그리고 그때까지 당분간은 부동산도 계속해서 완만한 침체로 갈 것이므로 굳이 지금 집을 사실 필요는 없다고 생가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적어도 2023년에는 1~2% 의 금리는 불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왜냐하면 저정도 수준이 되려면 기준 금리가 제로 금리가 되어야 하는데, 현재 CPI나 인플레이션을 고려하면 적어도 내년에는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부동산 경기가 얼어붙었고, 정부에서도 거래량을 늘리기 위해 규제를 완화하고 있으므로 기준 금리와 조금 무관하게 저금리의 대출 상품이 나올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런 관점에서 희망을 갖고 현금을 모으고 부동산 시장을 공부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미국이나 우리나라 등의 금리인상 정책은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고 보시면 되는데, 아직 물가가 확실히 잡히고 있다는 뚜렷한 지표가 나오지 않고 있어 금리가 다시 인하의 길을 들어서기까지는 어느정도 시간이 걸릴 것이라 보여집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2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년 초 3.5%까지 올리고 연말까지 물가 안정 흐름 등을 살펴보면서 금리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전망이 있습니다. 따라서 내년에는 은행의 대출 금리 하락을 기대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아마 내년 하반기는 되어야 하락할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