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도 없눈 밤에 하늘을 보면 흰구름과 푸른빛을 띄는 하늘을 볼 수 있는데요. 밤하늘도 어느 정도 밝은 빛을 내기 때문인가요?
가끔씩 달도 뜨지 않아 밤하늘에 빛을 내는 것이 없는 날이 있는데요. 이런날에도 하늘을 보면 구름이 흰색이라는 것과 하늘이 약간 푸른빛이 도는 것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아무런 빛이 없다면 검게 보여야 할 거 같은데요. 밤하늘도 약허게나마 빛을 내거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밤하늘에는 달이 없어도 어느 정도 밝은 빛을 볼 수 있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지구의 대기권에는 많은 물분자가 존재합니다. 이 물분자들은 태양으로부터 받은 빛을 산란시킵니다. 이 산란된 빛은 우리가 볼 수 있는 밤하늘의 밝은 빛이 됩니다.
지구의 대기권에는 많은 먼지와 오염물질이 존재합니다. 이 먼지와 오염물질은 태양으로부터 받은 빛을 흡수하고 다시 방출합니다. 이 과정에서 빛의 파장이 바뀌어서 우리가 볼 수 있는 밤하늘의 푸른 빛이 됩니다.
지구의 자기장도 밤하늘의 밝은 빛에 영향을 줍니다. 태양에서 나오는 자기장과 지구의 자기장이 상호작용하면서 자기장을 가진 입자들이 지구의 극지방으로 향하게 됩니다. 이 입자들이 지구의 대기권과 상호작용하면서 밤하늘의 밝은 빛을 만들어냅니다.
밤하늘의 밝은 빛은 지구의 회전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지구의 회전으로 인해 태양의 빛이 지구의 대기권을 통과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밤하늘에는 어느 정도 밝은 빛이 유지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밤하늘에 밝은 빛을 내는 주된 원인은 지구의 인공 조명입니다. 도시나 주거 지역에서 사용되는 가로등, 건물의 조명, 차량의 등등이 밤하늘에 빛을 반사시키는 것입니다. 이러한 인공 조명은 주변 대기 중의 먼지, 스모그, 수증기 등과 상호작용하여 밝은 빛을 만들어냅니다.
또한, 달이 없거나 달이 가려진 밤에도 하늘에는 별들이 존재하며, 별들은 자체적으로 빛을 내기 때문에 약간의 밝은 빛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별들의 빛이 하늘을 조금이나마 밝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하늘에 띄는 흰구름은 지구의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형성된 것입니다. 흰구름은 빛을 반사하고 굴절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밤하늘에 있는 인공 조명이나 별들의 빛을 반사하여 하늘을 밝게 만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밤이라고해도 빛은 아주 미세하게 들어는 오는데요. 하지만 이게 극히 미세하여 어두운건데요.
하지만 극히 드물게 빛의 양이 강해져서 하늘이 파랗게 보일수 있지만 이또한 찰나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