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수축이 있다고하는데 괜찮은건가요?
조기수축이 있다고해서 1달 반정도 딜라트렌 3.125mg 하루 2알(아침, 저녁) 복용하다가 2달 뒤에 심장 초음파랑 24간 심전도하고 소변, 피 검사하자고하시면서 약 용량을 6.25mg으로 늘려주셨는데 딱히 별다른 설명을 안해주셔서요.
약 안먹거나 먹고 시간이 지나면 혈압은 135에 95, 심박 105정도 나오는데 약먹은 후에는 125에 85, 심박 85-90사이 나와요. 조기 수축 있다고 진단받기 전에는 120초중반에 80-90에 심박 80정도 나왔어요.
간이 심전도인데 괜찮은건지 아닌지 모르겠어서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심전도는 각각 팔과 다리에 전극을 붙여 보통 3개의 표준사지유도와 3개의 증폭사지유도 그리고 12개이 전흉부유도를 이용하여 12가지 심전도를 얻는 것이 일반적인 표준 심전도입니다. 스마트 워치는 대부분 한손을 손목에차고 다른 손을 이용해 용두에 닿게 하면 기본적인 사지유도 중 하나가 만들어 질 수 있으므로 심전도를 발생하게 합니다.
현재 해당 심전도에서는 조기 수축이 1회 관찰되고 있으나 상기 심전도로만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정식 심전도를 통해 추가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처방받은 약물을 지속적으로 복용하면 되는 상태로 보입니다.
추가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한 심전도를 임상적으로 참고하지는 않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두근거림은 부정맥의 흔한 증상입니다. 부정맥의 원인은 다양한 것들이 있습니다. 우선은 부정맥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가까운 내과 방문하셔서 심전도 검사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24시간 심전도 검사를 하는 경우도 있으니 전문의 상담 받아보세요.
스마트워치의 심전도 소견을 가지고는 유의미한 의학적 결론에 도달할 수 없지만, 해당 소견만 놓고 보자면 빈도가 심하지 않은 조기심실수축이 이따금 발견되고 있습니다. 이미 관련하여 약물을 복용하고 계시다면 딱히 당장 더 문제될 것 없으며 추가로 해보아야 할 것 또한 마땅히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약을 드시고 나서 혈압이나 맥박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 같습니다. 조기 수축이 아예 없어지기는 어려워요. 횟수를 줄이는 것이 최선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