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갸름한종다리258
갸름한종다리25820.03.01

우리나라는 총 6공화국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이것을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 대통령들의 재임기간을 나눌때 공화국으로 나누는데 75년간 어떻게 6공화국 밖에 안되는지요.

어떠한 기준으로 공화국을 나뉘는지 알고싶습니다.

그냥 헌법개정할때마다 공화국이 바뀌는건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한국은 1945년, 35년간의 일본식민통치로부터 해방이 되었으나,

    해방후 우리의 정치는 국제적 냉전구조에 의해 틀이 만들어져 있었다.

    냉전구조는 한국인의 선택과는 관계없이 분단과 전쟁의 고통을 한국인에 강요했다.

    해방 직후 북위 38°선을 경계로 남쪽과 북쪽을 각각 미군과 소련군이 점령지배함으로써

    민족과 국토가 양분되었다.

    그 후 3년동안 점령국인 미·소의 대립과 남과 북의 지도자들간의 반목과 불화로 통일정부의 수립이 무산되었고,

    남과 북에 별도의 분단국가가 수립되었다.

    분단이 확정되면서 38°선 이남지역에 국제연합(UN)의 결의에 의해 1948년 5월 10일 제헌의회의원을

    선출하기 위한 총선거가 실시되었고, 동년 5월 31일에 처음으로 개원한 제헌의회는 7월 17일에

    새공화국의 헌법을 제정했다.

    1945년 8월 15일 새공화국의 헌법에 근거하여 새 정부의 수립이 선포됨으로써

    해방후 3년간의 미군정이 종식되었고 대한민국이 출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1948년 이후 한국의 정치사는 다음 6개의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1. 제1공화국(1948~1960),

    2. 제2공화국 (1960~1961)

    3. 1961년의 5·16군사정변에 이은 제3공화국(1963~1972)

    4.유신체제로 일컬어지는 제4공화국(1972~1979)

    5. 제5공화국(1980~1987)

    6.제6공화국 (1988~1993)

    출처: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04d3332b024


  • 우리가 흔히 구분해서 말하는 몇 공화국은 통치방식의 변화에 따라 구분되어 말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승만 정권 때가 1공화국,

    의원내각제가 도입된 3차 개헌 이후가 2공화국,

    대통령제로 돌아갔던 5차 개헌 이후가 3공화국,

    대통령 선출 방식으로 간선제로 바꿨던 7차 개헌 이후가 4공화국,

    대통령의 임기를 6년 연임제에서 7년 단임제로 바꿨던 8차 개헌 이후가 5공화국,

    그리고 대통령 직선제로 바뀐 9차 개헌 이후 지금까지가 6공화국으로 분류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