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중공업 주식 266만3000주 블록딜 매각하기로 결정. 여기서 블록딜이 무슨 말이 일까요?
가끔 공시라고 뜨는 기사 같은 걸 보면 블록딜이라는 용어가 나오는데 매각이란 뜻은 알겠는데 블록딜로 매각한다는 뜻은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블록딜 매각은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대량의 주식을 매매하는 거래 방식입니다. 주로 대주주들이 특정 사유로 대량의 주식을 매도할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블록딜은 특정 가격으로 주식을 대량 매도할 때 쓰이는 말인데, 대량으로 매도하다보니 하나의 '블록'으로 묶어서 거래하는 것과 비슷하여 블록딜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이렇게 대량으로 주식이 거래되는 것은 시장가격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대부분 시간외 종가매매 등에서 많이 이루어집니다.
안녕하세요
매각을 일반 시장에 내놓아서 거래하는 것이 아닌 한 번에 금액을 정하여 장외로 넘기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블록딜을 하게 되면 현재 시세보다 할인된 금액으로 넘기기 때문에 기존주주 입장에서는 악재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게는 블록딜을 매수한 투자기업들은 이를 시세차익으로 다시 시장에 매각할 여지가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블록딜은 대량의 주식을 한꺼번에 거래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주식 거래와 다르게 주식 시장이 열리지 않는 시간에 대규모 주식을 매매합니다. 이렇게 하면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거래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
블록 딜(Block Deal) 이란, 가격과 물량을 미리 정해 놓고 특정 주체에게 일정 지분을 묶어 장이 끝난 이후 일괄 매각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우리말로는 ‘일괄매각’이라고 불립니다. 대규모 지분을 일시에 매각할 경우 예측할 수 없는 가격변동과 물량 부담 등을 줄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가격과 물량을 미리 정해 놓고 거래하기 때문에 주가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특정인에게 지나치게 많은 지분이 몰리지 않도록 지분을 나누어 팔 경우 경영권 분산에도 효과가 있겠지요.
블록딜이란 대량의 주식을 보유한 매도자가 가격과 물량을 미리 정해놓고 사전에 매수자를 구해 주식을 거래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블록딜의 경우, 물량이 많기 때문에 시장에 한 번에 팔아버리게 되면 시장에 혼동이 생기기 때문에 일정 할인율을 적용해 블록딜을 통해 매도합니다
✅️ 블록딜은 '시간 외 대량매매'로써, 장중에 그냥 매도 주문을 내게 되면 가격 변동성이 커지기 때문에 이를 시간 외 매매로 매매함으로써 해당 주식의 가격 변동성을 줄이고자 하는 목적에서 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블록딜은 주식을 대량으로 보유한 매도자가 사전에 매도 물량을 인수할 매수자를 구해 시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장이 끝난 이후 지분을 넘기는 거래를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