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스마트폰 터치는 표면에 미세 전류가 흘러서 손으로터치시 전기장의변화를 감지하는데 굴껍질로도 터치가되는 이유가 뭘까요? 궁금합니다
스마트폰 터치는 표면에 미세 전류가 흘러서 손으로터치시 전기장의변화를 감지하는데 굴껍질로도 터치가되는 이유가 뭘까요? 궁금합니다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스마트폰은 손가락이 전기를 흘리는 것이 아니라 손가락이 가진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해 터치로 인식하는 겁니다 귤껍질 같은 물체도 얇고 습기가 이거나 손가락의 전기적 특성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정도로 도전성 유전성이 있으면 정전용량 변화를 만들어 터치가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스마트폰이 굴껍질로도 터치되는 이유는 굴껍질 또한 전도체로서 정전용량의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인데요. 스마트폰 터치는 손가락이 아닌,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원리이죠. 이에 굴껍질 역시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물체인데요. 손가락과 동일하게 터치스크린의 전기장을 변화시켜 터치가 가능한거죠.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말씀 주신것처럼 스마트폰 터치는 표면에 미세전류가 흐르고 그 전류가 도체인 손가락이 닿으면 미세하게 전기장이 변화되면서 그것을 감지해서 스마트폰 터치가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귤이 화면에 닿으면 귤도 수분과 나트륨이언이나 기타 등등의 이온들이 많아서 전류가 잘흐릅니다. 그래서 귤로 터치를 하면 전기장이 변화되고 그로 인해서 터치가 되는 것입니다.
2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