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4.01.09

동물실험을 할 때 왜 가장 흔히 쥐가 쓰이는건가요?

생체실험을 할 때 가장 먼저 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잖아요. 어째서 다른 동물보다 쥐를 활용하는 것인가요? 그리고 이런 동물실험을 받은 생명체의 최소한의 존엄성을 지켜주는 원칙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쥐가 생물학적으로 사람의 DNA와 유사하여 쓰이기 시작했고 개체 또한 많아서 실험쥐로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쥐는 생물학적으로 다른 동물들과 유사한 생리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체실험에 많이 사용됩니다. 그리고 쥐는 작은 크기와 짧은 수명으로 인해 실험 결과를 빠르게 얻을 수 있어서 많은 실험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쥐는 생체실험에 매우 유용한 모델 동물로서 선택되었습니다.

    동물실험을 할 때는 반드시 최소한의 존엄성을 지켜주는 원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이는 실험 동물들의 고통을 최소화하고 적절한 관리와 관찰을 통해 동물들의 건강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실험 전에는 반드시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실험 후에는 동물들을 안락사하는 등 적절한 후처리를 해야 합니다.

    쥐가 가장 흔히 사용되는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생물학적 유사성과 실험의 편리성 때문입니다. 그리고 쥐는 인간과 유사한 질병을 가지고 있어서 약물 효과를 예측하는 데에도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쥐 이외의 다른 동물들도 실험에 사용되고 있으며 쥐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적인 방법들도 연구되고 있습니다.

    동물실험은 과학적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도구이지만 동물들의 존엄성을 지키는 것은 우리의 책임입니다. 따라서 항상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적절한 동물실험을 진행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쥐는 생리학적으로 사람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고, 생물학적인 연구에 많이 사용되는 모델 생물입니다. 쥐는 번식력이 높고 번식 주기가 짧아 실험에 유용하며, 작은 크기로 인해 실험실에서 관리하기 용이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종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쥐는 인간과 공통된 유전자와 생리학적 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어, 인체에서 발생하는 질병과 생물학적 프로세스를 연구하는 데 유용합니다. 또한 쥐의 세대 간격이 짧아 연구 결과를 빠르게 얻을 수 있으며, 그들의 생물학적 반응은 인간의 것과 유사한 경향이 있습니다.


    쥐는 비교적 저렴하게 유지할 수 있고, 작은 크기로 실험 환경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실험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실험 조건을 조절할 수 있어 연구 결과를 신뢰성 있게 만듭니다.


    또한 윤리적 측면에서, 인간 실험은 윤리적 제한이 많지만 쥐를 사용하면 인체에 대한 실험을 하기 전에 초기 단계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쥐는 생명 과학 및 의학 연구에서 흔히 사용되는 모델 동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동물 실험 전체에 대한 윤리적 논란이 있으며, 쥐를 사용하는 실험도 예외는 아닙니다. 쥐 역시 생명체로서 존중받아야 하는 윤리적 고려가 필요합니다. 유용한 연구 도구로 인정되지만, 그 사용은 적절한 규제와 윤리적 지침을 따라야 합니다.


    윤리적 문제는 쥐에 대한 실험이 필요한 목적과 그 실험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쥐를 사용할 때는 동물 복지와 합리적인 실험 계획 수립이 중요하며, 대체 방법을 찾는 노력도 이루어져야 합니다.


    다양한 연구 기관과 국가에서는 동물 실험에 대한 윤리적 가이드라인을 수립하여 쥐를 비롯한 실험 동물의 적절한 취급과 보호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쥐의 유전자는 인간의 유전자와 약 90% 이상이 유사합니다. 이로 인해 쥐를 통해 얻은 실험 결과를 인간에도 적용하기가 비교적 쉽습니다.

    쥐는 생식 주기가 빠르고 한 번에 많은 새끼를 낳습니다. 이로 인해 실험 대상을 빠르게 확보하고, 여러 세대에 걸친 실험을 진행하기가 용이합니다.

    쥐는 작고, 사료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관리하기가 쉽습니다. 또한, 특정 질병 모델을 만들기 위해 유전자를 변형한 쥐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동물 실험을 수행할 때는 동물의 존엄성을 최대한 보호하는 원칙을 따라야 합니다. 이러한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3R 원칙: Replacement(대체), Reduction(축소), Refinement(개선)의 약자로, 가능하면 동물 대신 다른 방법을 사용하고, 필요한 동물의 수를 최소화하며, 동물의 고통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동물 실험은 동물 실험 윤리 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실험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동물의 복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2001년 인간의 게놈 지도를 완성한 뒤 2002년 쥐의 게놈 지도를 완성했는데 쥐는 인간과 다른 모습을 하고 있음에도 유전자 만큼은 80% 이상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특징 때문에 사람이 걸리는 고혈 압, 비만, 당뇨, 암, 우울증 같은 여러 가지 질병에 걸리 기도 하며 치료 약을 투입했을 때 나타나는 효과가 인 간에게도 비슷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물론 고릴라의 유전자가 인간 유전자와 98%가 같다곤

    하지만 고릴라의 경우 다루기도 어렵고 사육하는 것은 쉽지 않아 쥐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통계에 따 르면 2018년 국내에서 사용된 실험용 동물 중 98%가 설치류였습니다. 쥐는 몸집이 작기 때문에 사육하는데 공간이 많이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없고 약하기 때문에 다루기가 쉽습니다.

    또 쥐는 임신 기간이 짧은 데다 한 번에 5~10마리의 새 끼를 낳고 그 새끼가 다시 새끼를 낳기까지 9주밖에 걸 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렇게 빠른 번식력을 보여주는 덕분에 약을 먹었을 때 후손에게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 지를 빠르게 볼 수 있습니다. 실험에 사용되는 쥐는 크 게 두 종류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쥐는 일단 개체를 구하기가 쉬운것도 있습니다.

    그 이외에도 쥐의 유전자가 인간과 비슷한면이 있어 쥐를 통해 우선적으로 실험한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