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형 간염 예방접종, 항체 검사 없이 진행하려하는데 괜찮을까요?
현재 30대 초반 나이라 A형, B형 간염 예방접종을 하려 합니다. B형은 현재 항체여부를 검사 진행중인데 A형는 검사없이 접종 가능하다길래 검사를 따로 하지는 않았습니다.
만약 제가 모르는 날에 A형 간염 예방접종 또는 A형 간염에 걸려 이미 항체가 생긴경우, 이 때 A형 간염 예방접종을 또 맞아도 몸에 무리나 문제가 되지는 않나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감염이나 예방 접종으로 항체가 있더라도 다시 예방 접종을 맞더라도 문제가 되진 않지만 비용적인 부분을 고려시 권장하진 않습니다.
기존에 A형 간염 항체가 있는 상태에서 A형 간염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문제를 일으키는지가 궁금하신 것 같습니다.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만 아무래도 예방접종 주사를 맞는 것인 만큼 주사제 자체에 의한 부작용의 가능성 및 위험은 감수하긴 하여야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그렇지는 않습니다
있는 상태에서 접종하셔도 됩니다. 단지 그럴 필요가 없다는 것이지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일반적으로 20~30대의 경우 항체검사를 별도로 받지 않고도 예방접종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유는 보통 40대 이상의 경우 위생상으로 인하여 A형 간염의 항원에 노출될 확률이 높았기 때문에 가벼운 증상을 앓고 넘어가면서 항체가 자연스럽게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항체검사없이 예방접종만 하는 것으로 인한 이득보다 항체검사를 통해 항체 유무를 확인하여 접종하는 것이 이득이 되기 떄문에 국가에서 기준연령을 40세로 잡아둔 상태입니다.
또한 예방접종 후에 부작용이 드물지만 나타나는 빈도도, 고령일 수록 높아질 수 있습니다. 특히 항체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간혹 항체의 과활성화로 인한 문제가 고령에서 약간이긴 하나 좀 더 높아지기도 합니다.
현재 질문자님의 연령대를 고려해 보았을 땐 이러한 부분으로 인한 문제가 나타날 확률은 매우 적으므로, 진료받으신 병원의 소견에 따라 만일 항체검사없이 접종이 가능한 경우엔 시행하셔도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다만 접종 전에 신체적으로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반드시 재 상의후에 접종받으실 것을 권유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