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통성이 없는 아이는 어떻게 할까요?
살아가면서 필요한 지혜, 융통성이 없어요.
뭐 하라고 하면 딱 그거하나만 해요. 숟가락 떨어진걸 주우라고 하면 그 옆에 젓가락은 안줍고 숟가락만 주워요.
이런건 어떻게 교육시켜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성인에 비해 사물을 바라보는 시야가 넓지 않습니다.
조금은 번거롭게 귀찮겠지만
아이가 어떤 상황을 인지하기 전까지는
구체적으로 이야기 해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입장에서는 직관적인 부분만 쉽게 이해하는경향이 있습니다
특별히 문제가될것은 아니며
사회화가 이루어지다보면 점차 이러한 부분이 좋아질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융통성이라기 보다는 아이의 성향이나 기질에 따라 문제 해결력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런 아이에게는 부모님께서 정확하게 정보를 입력 해 주셔야 합니다
떨어져있는 숟가락 주워줄래? 옆에 있는 젓가락은 어떡할까?" 등의 상황을 더 넓게 볼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성향은 자라면서 계속 변할 것입니다
융통성이 없는 것 보다는 바꿔서 생각하면, 책임감이 강한, 또한 절제력이 있는, 신뢰가 있는, 성실한 성향의 아이일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아직까진 단순하므로 아이에게 융통성 없다고 다그치거나 혼을 내지 않아야 합니다
커가면서 스스로 지혜도 터득하고 점점 생각하는 힘도 길러지기 때문에 부모님이 항상 아이의 행동에 칭찬해주고 격려해 주는 것이 필요할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이 나이가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으나 계속적으로 옆에서 이야길 해주는 방법 밖에는 없습니다. 아이가 숟가락을 줍고 이어서 젓가락도 주으라고 이야길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융통성이 없는 아이의 경우 아이의 마음을 이해해주세요.
아이의 생각은 막혀 있는 느낌으로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부모님께서 최대한 왜 그렇게 생각하게 되었는지 이해해준다면
아이도 또 다른 생각을 하기 시작할 것입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