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신대부적오함마
신대부적오함마22.12.28

우리나라 천리장성은 어느시대에 왜 만든건가요?

중국에서 흉노족을 막기위해 만리장성을 만들었다면, 우리나라에는 천리장성이 있다고 들었는데요. 이 천리장성은 어느시대에 왜 만든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구려가 당나라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하여 631년에 축조를 시작한 성으로 삼국사기에서 요동만주벌판이 부여성에서 동남쪽으로 바다까지 1천여리에 걸쳐 지었다고 기록되었으며

    축조하는데만 16년이 걸려 647년에 완공되었습니다.

    641년 천리장성 축조의 총지휘관은 연개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천리장성으로는 고구려 시대때에 당나라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서 631년 영류왕 14년에 만들기 시작한 성이었습니다. 이 성을 건축하는데 무려 16년이 걸려서 647년에 완공되었습니다. 또한 이 천리장성은 연개소문의 쿠테타의 배경이 되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연개소문은 641년 천리장성의 축조의 총 지휘를 맡았다가, 642년 영류왕과 온건파 대신들을 싹쓸어버리고 쿠테타를 일으켰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구려가 당나라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631년(영류왕14년)에 축조를 시작한 성입니다. 삼국사기에서는 요동 만주 벌판의 부여성에서 동 남쪽으로 바다까지 1천여 리에 걸쳐 지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최근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요하하구까지 이어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성을 축조 하는 데는 무려 16년이 걸려 647년에 완공됐다고 하네요. 지금은 중국 지역에 위치해 있어서 그 자취를 알아보기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장수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당시 고려의 경계는 서북방면에서는 압록강이 자연경계를 이루어왔고, 동북방면은 궁예 의 관할관도였던 패강13진 의 동북한계인 정평 까지였습니다. 그러나 압록강구와 정평을 잇는 중간 내륙지역은 미한정경계지역으로 남아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에 성책을 축조함으로써 국경선이 됨과 동시에 두 지역의 분리기능을 취하게 되는 것이었습니다. 이와 같은 장성의 축조가 가능했던 것은 변계에 살고 있는 여진족들이 아직 정치적으로 미숙해 마을단위로 산거하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다.

    동시에 천리장성에 대한 고려의 인식은 국경선으로서의 의미 외에, 여진족 및 거란족에 대해 고려는 문화적·혈통적으로 다를 뿐 아니라, 우위에 놓임으로써 이들과 혼효 되어서는 안 된다는 문화적 구분선의 의미도 내포하고 있었습니다.


    추천은 답변에 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