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디플레이션이 무서운 이유가 궁금합니다
작년부터 지금까지도 정말 질리도록 듣고있는게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물가상승이 심각하다는 이야기들인데요. 그와 반대 개념인 디플레이션에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높이 형성되어있던 물가가 하락한다면 서민들의 경제 생활에 숨통이 좀 트이지 않을까요? 어제 만원이었던게 오늘9500원 내일은 9400원 이런식으로요.
혹시 제가 오개념을 갖고 있다면 바로잡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이면 물가가 하락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좋은 것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만약에 이것이 고착화되서 자리잡는다면 소비를 지연시키는 현상이 발생됩니다. 그렇게 되면 기업들의 매출은 감소하게 되고, 생존을 위해서 고용 및 투자 등이 위축되면서 경제 또한 침체 국면으로 빠지게 됩니다. 디플레이션에 빠져서 장기간 고통을 받은 국가가 바로 일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이 인플레이션(물가상승) 보다 경제에 위협적인 이유는 소비·투자 심리를 위축시킨다는 점입니다.
이로 인해 소비를 뒤로 미루면 기업이익은 감소되고 구조조정 과 채용 중단으로 이는 실업률이 급증하는 원인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한다면 일반인들은
물가가 계속하여 하락하므로 굳이 소비를
서두르지 않을 것이고 이에 따라서 소비가 위축되고
기업들은 제품이 팔리지 않아 어려운 등 지속적으로 경제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큽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 디플레이션이라고 하는 것은 인플레이션의 수치가 0 밑으로 하락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에요
그런데 디플레이션 상황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각 기업들의 판매가 부진해지면서 실업률이 증가하고 취업률이 하락하게 되면서 경기침체로 빠지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요. 그럼 물가의 안정은 찾아가지만 이러한 제품들을 소비할 수 있는 경제적 여건을 갖추는 사람은 줄어들게 되면서 경제는 심각한 침체의 늪에 빠지게 되는 것이에요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은 단순히 물가만 하락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침체가 함께 되는 것이 문제입니다. 말씀하신대로 물건가격이 하락해도 경제침체로 인해 월급도 줄어들게 된다면 결국 또 문제가 되겠죠